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왕대 - 김탁환의 역사 생태 동화 살림어린이 숲 창작 동화 (살림 5.6학년 창작 동화) 6
김탁환 지음, 조위라 그림 / 살림어린이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이란 말이 있듯이 우리 나라에는 호랑이가 많이 살았던 것이 사실이다.

호랑이와 관련된 옛날이야기도 많이 전해 내려오듯 늠름한 호랑이들이 자유롭게 살아가던 시절...

세월이 흐른 탓이 아닌 잔인한 인간들이 저지른 만행으로 인해 호랑이는 자취를 감춰버리게 된다.

그 배경을 어린 호랑이 왕대를 통해 들려주고 있는 김탁환 작가의 역사 생태 동화를 만나 보았다.

 

아름다운 자연 숲 속에서 엄마의 보살핌과 교육을 받으며 여유로운 나날을 보내는 어린 호랑이 왕대의 생활모습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쇠로 만든 새가 가끔 시끄러운 소리를 낸다는 표현에서 1945년 일제 강점기 시대임을 암시하고 있다.

그래도 인왕산 꼭대기 엄마 호랑이와 왕대의 따뜻한 대화 속에 평화로움과 행복을 함께 느끼며 이야기가 순조롭게 진행되는가 싶었다.

하지만 사냥개를 앞세워 인간은 호랑이가 사는 곳까지 와 엄마 호랑이를 죽이고, 아기 호랑이인 왕대마저 유인해 잡아가면서

긴장감마저 맴돌게 한다. 엄마 잃은 슬픔이 가시기도 전에 일본인들이 창경궁을 동물원으로 만들어버린 낯선 곳에 적응해야 하는 왕대.

야생에서 엄마의 가르침을 받고 자란 왕대는 무조건 복종해야 하는 동물원 생활에 쉽게 적응하지 못한다.

너구리 비밀구멍으로 탈출을 시도하다가 잡히기도 하고, 아기 사자 피터와 치열하게 싸워 독방에 갇히기도 하고...

 

인간의 시선이 아닌 동물인 호랑이 왕대의 시선으로 풀어나간 이야기이지만 마치 일본에 억압당하며 상처받고 찢겨진

우리민족의 고통과 아픔을 함께 보여주는 듯해 더욱 가슴이 찡해왔다.

 

미국의 공격을 대비하느라 동물에게 줄 먹이마저 줄어들고, 결국 치사량의 3배가 넘는 약을 먹이에 뿌려 살처분을 감행한 일본.

결국 동물원의 모든 동물은 한 순간에 시체로 변해버렸다. 그 속에서 배고픔을 참고 먹이를 먹지 않아 용케 살아남은 호랑이 왕대는

새 숲을 찾아 으뜸 호랑이가 되었을까. 그 모습을 감춰버린 호랑이 왕대를 한 번이라도 실제로 보고 싶다는 마음이 간절해 진다.

비열하고 잔인한 일본의 만행에 피가 거꾸로 솟지만 뼈아픈 우리 역사 속에 함께 고통 받았던 동물들이 있었음을 미처 몰랐다.

일제시대 창경궁의 모습과 호랑이의 생태와 멸종 위기 동물에 대한 설명도 마지막에 덧붙여 놓아 인간이 저지른 실수를

이제는 더이상 저지르지 않도록 반성하게 만든다.

우리 모두 현재 살고 있는 동물들을 잘 보호하여 더이상 이런 실수를 저지르지 말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