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 - 세상을 깨우는 시대의 기록 역사 ⓔ 1
EBS 역사채널ⓔ.국사편찬위원회 기획 / 북하우스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채널ⓔ‘의 임팩트는 확실히 강하다.

‘역사채널ⓔ’ 만이 아니라 ‘지식채널ⓔ‘도 그랬다.

모르고 있던 것은 물론하고 알고 있던 것 조차도 영상과 음악,

최대한 아끼고 아낀 몇 줄의 글에 담아 5분 남짓한 시간에 전달하려니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 제작진이 얼마나 다듬고 다듬었으랴.

역시나 그 영향력은 영상을 본 이들의 시선을 붙잡기에 충분했고

5분의 시간에 내가 본 것, 읽은 것에의 잔상은 오래도록 마음에 머무르기도 했다.

 

프롤로그에 소개하기를 ‘역사채널ⓔ‘에 소개된 영상이 벌써 73편이라는데

책에는 3부에 걸쳐 21편을 담아놓았다.

이 가운데는 우연히 본 것도 있고 그렇지 못한 편도 있는데 이번 기회에 책과 함께 한편 한편 다시보기를 해보기도 했다.

영상의 장점은 역시나 짧은 시간에 전달하는 강렬함이었고

책으로 접하는 ‘역사채널ⓔ’는 5분 안에 담지 못했던 여타 이야기들과 관계된 이야기들,

그때의 역사가 어떤식으로 지금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있어

던지는 식의 자투리 역사가 아니라 이해를 돕는 역사를 접할 수 있었다는게 최대 장점이라 하겠다.

 

역사는 결국 현재를 살아낸 사람들의 ‘삶’의 기록이다.

현재는 시간을 지나 과거라는 틀속에 갇히지만 그 기억은 사라지지 않고 ‘역사’라는 이름으로 전해져 현재에 계속해서 재생된다.

그렇기에 조선의 폭군이라 불리던 연산군 조차도 “내가 두려워하는 것은 역사뿐이다”고 말하지 않았던가.

 ‘어떻게 살 것인가’의 화두를 던지며 우당 이회영 일가를 다룬 <어떤 젊음>으로 책을 시작하며

‘나는 누구인가’를 거쳐 ‘무엇을 기억할 것인가’에 이르러 끝을 맺는다.

3가지 화두 모두 만만치 않은 무게를 지녔다.

어느 한가지도 제대로 생각하지 못한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역사채널ⓔ’는 앞만 보지 말고 지나온 길을 더듬어 보란듯 뒷덜미를 잡아챈다.

 

“내가 죽은 뒤에 뼈를 하얼빈 공원에 묻어두었다가 우리의 국권이 회복되거든 고국으로 옮겨다오.” -p.177 <네 개의 단서>

 

달라지지 않는다면 우리에게 999 더하기 1은 1000이 아닙니다. 다시 1일 뿐.

20년 전 맨 처음 이곳의 수요일과 오늘 999번째 수요일이 다르지 않은 것처럼 -p.242 <999번째 수요일>

 

남학생들이 엎드려, 엎드려 하며 다급한 목소리로 외쳤다

바로 옆에서 총알이 떨어지는 소리가 들린다

아 어떻게 사람을 정면에 대고 총을 쏠 수 있을까?

 

구경하던 어린이, 할머니까지 총으로 무차별 살해한다

쓰러져가는 많은 시민들을 보았는가?

직접 보지 않은 사람은 이 사태를 이야기할 수 없다 -p.256 <기억을 기억하라>

세계 그 어떤 나라보다 숱한 숙제가 남겨진 대한민국의 역사는 여전히 풀지않은 과제를 외면한 채 앞만 보고 달리는 모양새다.

연산군이 그토록 두려워했던 ‘역사’를 찾기가 힘들다.

이렇게 역사가 말랑말랑한데 과연 어느 누가 두려워할까 싶다.

외면하고 잊어버리고, 잃어버린 역사의 끝엔 무기력과 상실감, 불행의 반복이 기다릴 것이기에 역사는 엄중히 말한다.

 

“과거를 기억하지 못하는 이들에게 과거는 반복된다.” -조지 산타야나(미국 철학자)

 

 

“우리는 왜 빼앗긴 문화재를 되찾아야 하는가?” “왜 역사적 사실을 지금에 와서 복기해야 하는가?” 문화재제자리찾기운동 사무처장 혜문스님이 답했듯 “빼앗긴 문화재를 되찾아오는 일은 우리의 슬픈 역사와 짓눌린 역사를 회복 하는 것이며, 지난한 과정을 통해 역사를 다시 찾는 것은 자기 자신을 다시 찾는 것과 다름없다. 결국 문화재 변환과 역사적 팩트를 복기하는 일은 자기 상실을 극복하는 첫단계다. -p.7 프롤로그 

역사적 팩트의 복기가 쉽지는 않을테지만 이런 토막의 역사에서 출발해 왜곡된 역사가 회복되어지는데 있어 작은 돌멩이라도 던지는 계기가 된다면

임팩트만 남는 프로그램과 책으로 끝나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