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스팅 게임 - 백만장자의 상속자 16명이 펼치는 지적인 추리 게임!, 1979년 뉴베리 상 수상작
엘렌 라스킨 지음, 이광찬 옮김 / 황금부엉이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거대해진 출판시장에서 그래도 괜찮은 책이다를 보증해주는 증표쯤 되는 것이 수상작이다.

읽을 책이 부족했던 시절엔 한권을 읽고 또 읽고를 반복하면서 입체적인 책읽기를 했던 것 같다.

내용은 물론이고 소설의 경우 등장인물의 성격을 캐내고, 인물들간에 얽힌 이해관계를 분석해 보기도 하면서

굳이 그러려는 의도는 없었지만 그렇게 하곤 했다.

제인에어도 그렇고 데미안도, 시드니 셀던의 소설들도...

그런데 몇 년 사이에 나만 그런건지 책읽기 성향이 많이 바뀌었다.

요즘엔 책이 부족한게 아니라 시간이 부족하다보니 재독을 마음먹고도 한번더 읽기가 쉽지 않다.

바쁜 일상탓도 있겠지만 하루에도 수없이 쏟아져 나오는 책들을 기웃거리다보면 읽고픈 책이 줄을 선다.

한권을 읽고 있는 중에도 다른 읽을 책들이 눈에 밟혀 그 한권에 오롯이 몰입하기조차 힘들때가 많다.

결코 올바른 책읽기가 아니다.

마찬가지로 웨스팅 게임, 이 책도 다른 책을 보는 와중에 뉴베리 수상작이란 심벌이 눈에 띄었다. 

또 올바른 책읽기가 아닌 짓을 하고야 만다. 

읽을 예정인 책사이에 끼어넣기를 주저하지 않으면서.

 

2008년도에 한국어 번역본 초판이 나오고 얼마전 개정판 1쇄가 발행되었다.

읽은 소감부터 말하자면 ‘원본은 괜찮았을 것이다’.

청소년이 읽기에도 괜찮을 추리형식의 소설인데다 수상작인만큼 어느정도의 신뢰가 미리 확보되었지만 

내용의 특성상 보다 세밀한 번역이 필요했다는 생각을 해본다.

사건이 발생하고 범인을 좁혀가는 과정에서 주어지는 단서가 '조각난 단어들'인 만큼 

그 단어를 조합해서 맞아떨어지는(퍼즐을 완성했을때의) 통쾌함을 극대화시켜 누가 읽어도 수긍되는 결론에 이르러야 추리소설의 묘미가 있는데

이 소설은 그런 점에서 실패한것 같다.

우리나라 독자의 입장에서는 언어 퍼즐을 맞추어도 추리의 묘미를 느끼기엔 역부족이었다는 생각이다(영미권 독자들은 괜찮았겠지).

그리고 게임 참여자인 동시에 용의자가 열 여섯명이나 되는 설정은 처음부터 사건에 집중하는데 확실히 걸림돌이 되고 있었다.

내용의 많은 분량이 이 열 여섯명이나 되는 인물소개와 배경, 서로간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분량을 잡아먹다보니

사건이 전개되어 나간다기 보다 계속해서 그 자리를 맴돌고만 있는 느낌.

책은 끝까지 독자가 사건에 개입해서 용의자를 추적해갈 필요를 상쇄시킨다.

실마리를 찾을수 없을뿐더러 중간중간 이 모든 사건을 조작한 작가의 추임새(?)가 등장해 궁금증을 미리 해소시켜주는 친절을 베풀어주기까지..ㅠ

극악한 행태의 범죄없이 게임을 풀어가며 범인을 찾게 만든다는 장치는 좋은데 번역본으로서의 한계가 아니었나 싶다.

그래서 원본은 괜찮을 것이라는게 나의 감상.

그리고 한가지, 초판을 입수해 비교해 보고 싶다.

개정판을 내면서 이런 한계를 멋지게 건너뛰어 퍼즐맞추기의 통쾌함을 독자에게 한껏 전달할 수 있는 책으로 바꿈되었으면 좋으련만

그 한계는 분명히 극복하지 못한듯 하고 

거기에 오자와 띄어쓰기 오류, 대박이다. 문학을 무시한 직역형 번역도 거슬리고

그많은 등장인물의 이름을 풀네임으로 불렀다가 이름만 불렀다가 줄였다 늘였다 와~ 정신 하나도 없었다.

황금부엉이 출판사는 교정작업을 하지 않나?

원본 표지엔 용의자 열 여섯명의 캐리커처를 표지로 삼은 적이 있네.

(용의자가 아닐뿐 다른 인물도 등장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