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 - 돌하르방 어디 감수광, 제주도편 ㅣ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2년 9월
평점 :
6권에서 예고했다.
이후로부터 다루어지는 선생님의 답사기 책은 문화유산의 과거와 현재를 액면 그대로 전하면서 엮어가겠노라고.
이전에 간행된 문화유산답사기책 어느 한곳에서도 허술함이 없었던 답사기였지만
앞으로 다루어질 답사는 더더욱 진지해질 것이라는 뉘앙스를 받았는데
제주도편은 그 느낌이 틀리지 안았음을 확인하고도 남았다.
'책을 펴내며'의 제목에서도 알수 있듯이 ‘제주허씨’를 위한 ‘제주학’ 안내서이다.
제주허씨, 제주에 적을 두지 않고 육지에서 들르는 이들을 코믹하게 칭하는 대명사격이다.
내포된 뜻은 제주를 제대로 알지못한채 들르는 모든 이들을 지칭하는 말이기도 하고.
그런 이들을 위한 ‘제주학’ 안내서란 것이다.
다시말해 관광이 목적이 아닌 제주를 배우는 것에 목적이 있다.
물론 논문이나 학술서 같이 심도있게 다루지는 못하지만
여지껏 제주를 환상의 섬쯤으로 알고 있는 ‘제주 문외한’들에게
제주의 자연, 역사, 민속, 언어, 미술 등에 걸친 가치를 자료나 고증을 바탕으로 접근해
겉으로 보이는 제주가 아닌 껍질을 깨고 안을 들여다 보며 그 안에 담겨진 내용물을 하나하나 살펴봄으로써
보지 않았던, 어쩌면 눈에 보이는 좋은 것만 담으려 했던 관광객들에게
제주의 본모습을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가 짙다.
자동차를 빌려서 사랑하는 마음, 신비로운 마음으로 제주의 속살에 다가가고 싶어하는 육지인을 위한 제주도 답사기. 나는 그런 콘셉트로 제주도편을 쓰기로 마음먹었다. 우리나라 렌터카 자동차번호에는 ‘허’자가 붙어 있으니 ‘제주허씨’를 위한 제주도 안내서라고나 할까? -p.6
이 책의 출간과 함께 내게 바람이 있다면 나의 독자들도 제주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고 내가 왜 답사기에 ‘제주학’을 역설하고 있는지 공감하여 우리 모두가 이를 격려하고 지원하고 동참하는 것이다. -p.9
선생님이 제주답사 일번지로 꼽은 곳은 제주의 인문과 자연의 대표주자 와흘 본향당, 조천 너븐숭이, 다랑쉬오름, 용천동굴, 하도리 해녀 불턱이다.
제주의 삼다가운데 하나인 제주여인네들의 정신적 고향이었던 본향당 이야기로부터 시작되는 답사기는
제주의 아픔, 4・3사건의 전말을 거치고
대지예술이라 일컫는 오름과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자랑스럽게 등재된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에 이르기까지
제주인의 삶과 아픔, 땅의 생성과정, 동굴발견에 얽힌 이야기, 해녀이야기까지 거침없이 전한다.
제주에 들르면서도 정작 제주를 이루고 있는 제주인에 대해서는 관심가지지 않았던,
그래서 몰랐거나 피상적으로 알고 지나쳤던 무심함을 마주할 때 육지인들은 몰라주어서 미안한 마음을 가지게 되리라.
아름다운 외관과 달리 전체역사를 두고 볼때 그 섬을 이루며 살았던 사람들은 역사의 소용돌이에서 항상 희생되어야 하는 자리에 있었고
그럼으로써 자연이 주는 모진 바람이 서러운게 아니라
진저리쳐질 만큼의 큰 파도로 다가오던 버거운 삶의 무게가 오히려 그들을 서러웁게 했으리라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가 담고 있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예찬하기에 바쁘지만
정작 상처를 안고 사는 사람들의 아픈 역사는 외면하기에 더 바빴던 지금까지의 우리네 모양이
참으로 역설적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하지만 육지인들의 무관심을 뒤로한채 그들 스스로 챙겨온 역사의 장면들은 제주를 이루는 하나의 요소가 되고
이렇게 답사기에 실리니 지금의 제주는 오롯이 제주인 그들의 것일지도 모른다.
제주의 인문을 조망후 답사기는 지금 제주가 있기까지의 역사를 헤집고 그 유적지의 현장을 답사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관광차 들렀다면 흔쾌히 패스했을 장소들이 언급되기도 하고
돌하르방의 경우 제주 곳곳에 흩어져 있는 것들을 각각 비교해서 알려주니
돌하르방이면 모두가 똑같이 생겼을 것이라 무턱대고 알고 있던 육지인의 잘못된 생각도 고쳐준다.
때론 제주도 방문때 다녀왔던 곳이 나오면 반갑게 읽다가도
미처 알지 못하고 지났던 것을 새로 알게되어 재방문의 욕구가 일어나기도 하고
선생님이 언급한 곳곳, 못보고 못가본 곳은 다음에 다시 가볼 요량으로 줄줄이 예약이 섰다.
아, 이렇게 알고 가볼 곳이 많은 제주인데 몇회 방문으로 볼거 다봤다며
섣불리 외국으로 눈을 돌리는 이들은 돌이켜 우리 제주의 미학에 다시 빠져볼 일이다.
선생님이 책으로 미처 다루지 못한 것에의 아쉬움을 토로하셨지만
나또한 서평에 일일이 이 책의 감흥을 표현하지 못하니 안타까울 뿐이고
제주를 다시 새롭게 보고자 한다면 다들 일독하기를 권하는 바이다.
“우리나라에 제주도가 있다는 것은 자연이 내린 축복입니다. 우리 영토가 한반도에 국한되어 있고 제주도가 없다면 그 허전함과 서운함을 무엇으로 메울 수 있겠습니까?” -p.20
초판 1쇄 발행 2012년 9월 15일자 오타
331쪽 6줄-도저히 누구의 유골인지 알 수 않았다.->없었다.
339쪽 19줄-형벌을 내려졌다.->형벌이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