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버 보이
팀 보울러 지음, 정해영 옮김 / 놀(다산북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인생에 대한 이야기를 몽환적 느낌으로 풀어놓은 책이다.
인생이란 어떤 것인지에 대해 죽음의 문턱에선 할아버지를 통해
보여주기를 원하는데
내포와 상징의 모호함과 지나침으로 의미가 청소년 수준에 맞게 잘 전달될 것인지에 대해선 의문.
정서적으로 다른 이질감이나 이들의 생활도 우리네와는 너무 달라
(그렇지만 이러함에도 어떤책은 스토리의 탄탄함이 이를 극복하게 이끌어주기도 하는데)
상황을 이해하거나 감정에 몰입하거나 하는데 장애적 요소가 되는건 분명한 사실.
그럼에도 이런 장애를 넘어 의미를 따라가 파악해 내고 감동까지 이어가기엔 헉~~
할아버지를 사랑하는 열 다섯살 소녀 제스.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내면서 느껴야할 이별의 슬픔과 그리움의 고통 또한
할아버지의 죽음처럼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이며
할아버지의 죽음후 깊은 슬픔에 잠겨있지만 결국은 더 많은 내일을 살아가게 될 것이라는
희망의 메세지를 전한다.
이런 메세지를 전하기 위한 이야기 구성치고는 아주 모호한 점이 많아
책장을 덮고도 뭔가 이해되지 못한 찝찝함이 남겨졌다.
할아버지와 리버보이와의 관계성이 무엇인지..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고
독자로 하여금 계속 호기심만 불러일으키며 지루한 장면을 반복하는데
참 지치게 만드는 부분도 많다.
그럼 리버보이와 제스의 관계성은 무엇일까?
이것도 결국 모호하게 끝나버린다.
전개될듯 될듯 하면서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제자리걸음하는 이야기자체가
참 답답했고
이런 메세지를 주는 더 좋은 문학을 차치하고
이 책이 명성을 날리는건 단순히 베스트셀러의 함정이 아닐까 싶은 생각마저 들게한다.
소지루한 책읽기였다.
 |
"사람의 일생을 보는 것 같지?"
"일생이라고?"
"강의 일생일 수도 있고."
"강은 여기에서 태어나서, 자신에게 주어진 거리만큼 흘러가지. 때로는 빠르게 때로는 느리게, 때로는 곧게 때로는 구불구불 돌아서, 때로는 조용하게 때로는 격렬하게. 바다에 닿을 때까지 계속해서 흐르는 거야. 난 이 모든 것에서 안식을 찾아."
"어떻게?"
"강물은 알고 있어. 흘러가는 도중에 무슨 일이 생기든, 어떤 것을 만나든 간에 결국엔 아름다운 바다에 닿을 것임을. 알고 있니? 결말은 늘 아름답다는 것만 기억하면 돼."
"하지만 죽음은 아름답지 않아."
"아름답지 않은 건 죽음이 아니라 죽어가는 과정이겠지."
"삶이 항상 아름다운 건 아냐. 강은 바다로 가는 중에 많은 일을 겪어. 돌부리에 채이고 강한 햇살을 만나 도중에 잠깐 마르기도 하고. 하지만 스스로 멈추는 법은 없어. 어쨌든 계속 흘러가는 거야. 그래야만 하니까. 그리고 바다에 도달하면, 다시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날 준비를 하지. 그들에겐 끝이 시작이야. 난 그 모습을 볼 때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을 느껴." -p.192~1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