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백 - 제16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장강명 지음 / 한겨레출판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개인적으로 문제제기를 하는 책을 좋아라한다.
그냥 읽으면 좋을 책도 좋지만 그런류의 책은 거기서 그뿐이다.
누군가는 자꾸 머리를 비어주는 책을 찾는데
나는 왜 자꾸만 문제를 던져주는 책에 손이 갈까?????
「표백」은 기성화된 사회를 완성단계에 있다고 보는 작가의 논지에서 출발한다.
이전세대와 달리 뭔가 거창한 것을 이룰 명분도 명목도 없는 지금의 세대가 작가의 생각엔
무척 억울했나보다.
멋져보이고 좋은건 기성세대에게 다 뺏기고
지금의 젊은세대는 찌꺼기만 겨우 찾아 그마저도 서로 갖겠다고 싸운다는 식이다.
사회를 보는 눈이 아주 시니컬하다.
작가의 이런 도전적 생각에 기성세대 부류에 속하는 나의 입장은
누구나 자기세대는 손해를 보고 있다는 피해의식을 갖고 살아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 억울한 세대가 기성세대가 되었을 때엔
그 다음 오는 세대가 또다른 명목을 들고 억울해 할 것이다.
그렇게 뭔가를 이루어가야 하는 세대는
미완성에서 비롯되는 뭔지모를 불안과 쫓김, 조급함, 일이 잘안될때는 원망과 억울함 같은
피해의식과 동행해야 하며 싸워이겨야 하는 것이다.
기성세대? 다 이룬 틀안에서 안정적일 것이라 보이나?
그대가 이 틀안에 들어오면 그때와는 또다른 피해의식이 있고
기성세대 또한 그것들과 피터지는 번민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해서 「표백」 을 평가절하하지는 않는다.
어쨌든 '후(後)'를 살지 않은 상태인 '금(今)'으로는 얼마든지 제기할수 있는 문제이고
그 세대에서는 반향이 될 만한 거리다.
나도 이 세대라면 아마 작가의 항거에 대리만족을 하며 열의를 보내지 않을까 싶으다.
이야기는 와이두유리브닷컴에서 알수 있듯이
세상에서 더이상 자신의 빛을 찾지 못하리라 여기는 젊은이들이
'자살'이라는 일탈행위로 사회에 일으키는 파문과 함께
자기네 세대의 절망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그 '자살'이라는 행위가 도발적이기에 이 책을 둘러싸고 호불호가 나뉠것으로 여겨진다.
작가가 문제제기를 함에 굳이 '자살카페'를 소재로 한 것은
젊은세대의 절망수위가 이정도임을 사회에 알리기 위한 잇점과
책자체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소재가 아닐까한다.
초중반부에서 비롯되는 흥미와 궁금증은 뒤로 가더라도 좀체로 줄지 않는다.
오히려 카페운영자의 정체를 둘러싸고 더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서서히 이야기를 정리해야 하는 시점에서 풀어내는 작가의 생각은
(세연의 동생 세희와 적그리스도라 불리는 주인공의 대화를 통한)
어째 자신도 자신의 주장과 스스로 생각하는 기성세대를 포함한 주변인의 반론 사이에서
생각이 정리되지 않은듯하다.
잔뜩 문제제기만 해놓고 그 문제에 대한 생각은 각자의 몫이라고 떠넘기듯 만다.
그리고 지금세대의 대변인인양 문제를 던지고 이런저런 논리를 펼쳐놓고는
정작 말미 몇줄에 그 세대의 주장을 뒤엎는 디스이즈더리즌닷컴 개설 운운하는 모습은
오히려 그들의 뒤통수를 치는 격이 아닌가...
진정 그 세대를 위한 책인가?에 물음표가 달리는 결말이다.
책을 덮으며 저자의 말처럼 지금의 20대, 전후좌우를 봐도 길이 없는듯 깜깜한 미로를 헤매는 느낌일테다.
그러나 그 느낌을 기성세대 누구든 통과의례처럼 치뤘던 것이고
그 미로를 헤쳐나오면 또다른 미로가 있으니 단단히 각오하며 세상을 살아라고 하고 싶다.
그러나 '혼자'라면 엄두가 안날 세상지만 '여럿'이기에 손을 맞잡고 갈수 있는 희망이 있고
그 '여럿'으로 지금껏 세상은 존재하고 있다라고.
'혼자'일 것이냐? '여럿'가운데 하나일 것이냐?
선택의 문제만 남았다.
|
이 세상은 사실 허점투성이여서, 야심만만한 젊은이가 나타나 초패왕이나 카이사르처럼 칼을 휘두르면 적들은 마분지로 만든 인형처럼 무너지고 말 것 같았다. -p.13
나는 세상이 아주 흰색이라고 생각해. 너무너무 완벽해서 내가 더 보탤 것이 없는 흰색. 어떤 아이디어를 내더라도 이미 그보다 더 위대한 사상이 전에 나온 적이 있고, 어떤 문제점을 지적해도 그에 대한 답이 이미 있는, 그런 끝없이 흰 그림이야. 그런 세상에서 큰 틀의 획기적인 진보는 더 이상 없어. 그러니 우리도 세상의 획기적인 발전에 보탤 수 있는 게 없지. 누군가 밑그림을 그린 설계도를 따라 개선될 일은 많겠지만 그런 건 행동 대장들이 할 일이지. 참 완벽하고 시시한 세상이지 않니?
나는 그런 세상을 '그레이트 빅 화이트 월드'라고 불러. 그레이트 빅 화이트 월드에서 야심 있는 젊은이들은 위대한 좌절에 휩싸이게 되지. 여기서 우리가 해야 하는 일은 우리 자신이 품고 있던 질문들을 재빨리 정답으로 대체하는 거야. 누가 빨리 책에서 정답을 읽어서 체화하느냐의 싸움이지. 나는 그 과정을 '표백'이라고 불러." -p.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