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곰 어린이중앙 그림마을 11
몰리 그룸즈 글, 루시아 구아르노타 그림, 최윤정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1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다 본 후에 마지막 책장을 덮었을 때의 느낌은 마치 ‘곰의 생태’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한 편 감상한 듯한 느낌이었습니다. 세상을 처음보는 아기곰이 엄마곰을 따라 동굴을 나서서 하루를 빡빡하게(?) 보내는 가운데 드러나는 곰의 생태에 관한 이야기를 곰들의 행동 하나하나를 나레이션 하면서 정지화면으로 보여주는 듯 느껴집니다.

하지만 다큐멘터리가 딱딱한 느낌인 반면에 이 책 <우리는 곰>은 세상모든 것에 대한 호기심으로 가득찬 아기곰들의 질문, 그리고 그 질문에 대한 엄마곰의 친절한 답변식의 대화가 있어서 우리 아이들은 사진을 방불케하는 생생한 곰그림과 함께 곰의 ‘어떠함’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익힐수 있을 듯 합니다.

위험을 피해 “기어오를 줄 알고”
무엇을 먹기위해 “찾을 줄 알고”
때론 “헤엄을 칠 줄 알고”
새로운 먹을 것을 찾기위해 “땅을 팔 줄 알고”
엄마로서 아기곰들을 “이끌어 줄 줄 알고”
하루의 피곤을 씻기위해 “잠자는 걸 좋아한다”
그런 “우리는 곰이다”

곰의 행동에 관한 요약이지만 책의 내용은 일련의 이야기를 지니며 전개되어지고 그때그때마다 곰은 주어지는 환경에 따른 특징적인 행동을 보이게 됩니다. 이 이야기식 구성은 아이들에게 있어 곰의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굉장히 효과적으로 작용하는데 하은이의 경우 엄마곰이 숲쪽을 쳐다보며 뒷발만 땅에 댄채 일어서서는 으르렁 거릴 때 자기도 마치 아기곰인양 함께 긴장하고 벌통을 건드려 쫓길 땐 어찌해야 되는지 표정이 난감해 집니다.

하지만 이런 위기의 순간을 엄마곰의 지시에 따라 하나하나 극복해 가는 아기곰을 따라가다 보면 안도하게 되고 마지막 책장을 덮을 때엔 저절로 아기곰의 생태에 대해 알게 되더군요. 아기곰이 위기를 극복했던 방식이 바로 그들의 습성이자 생태이니 말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곰’을 일컬을때 둔하고 미련한 사람을 비유해서 말하곤 하는데(곰에 대해서 몰라서인지) 맨 뒷장에 큰글로 새겨진 “우리는 곰이다.”의 문구에 함축된 의미를 생각건대, 그리고 이 책에서 보았듯이 곰은 결코 둔하지도 미련하지도 않는 동물임을 알 수가 있습니다.

엄마곰이 위험을 알렸을때 그렇게나 빠른 동작으로 나무에 올라가는 아기곰, 뒤따라 오는 벌떼를 따돌리는 방법, 그리고 감각으로 독버섯을 피하는 장면에서도 말입니다. 뿐만 아니라 엄마곰은 새끼곰들에게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쳐 주기까지 하지요. 사랑을 담아..

그러니 앞으로는 ‘곰’을 두고 악평을 하는 일은 그만두어야 할 듯 합니다. 적어도 아기곰들은 이러이러해서 그네들이 ‘곰’임을 오히려 다행으로 여기며 살게 될지도 모르니까요. 그리고 엄마곰은 그렇게도 자연스레 세상살아가는 법을 터득해가는 아기곰들이 마냥 자랑스럽고 귀여우니 말입니다. 딸아이는 이 책을 읽고는 곰에 대해서 박사라도 된양 엄마를 가르칩니다.

“엄마~ 곰은 위험할 때 나무에 올라가~”
“엄마~ 나도 꿀 좋아하는데 곰도 꿀을 좋아한대.. 꿀이 달아서 맛있나봐~”그러면서 말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