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지도자들
한시준 지음 / 역사공간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 서평]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지도자들 - 아직도 청산되지 않은 일제의 잔재가 작용하는 현대사의 시작을 생각하게 하는 책



2016년 역사학계 최대 이슈는 아마 국정 교과서 문제일 것이다. 

인문학은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한 학문이라는 점에서 어느 한 세력(세력이라 표현하고 있는 것은 현 정부가 주도하는 국종 교과서가 다양한 생각을 포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이 주도하는 것이 정설이 되는 것은 문제가 된다. 입장이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역사라는 학문도 해석이 전제되는 학문이기에 다양한 관점의 이론이 필요하다.


사실 건국절 등 역사 문제를 거론하는 현 정부가 과연 역사 정통성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생각할 때 심히 우려스러운 부분이 많다. 

많은 국민이 반대를 하는 일본 위안부 문제 합의 등 친일 잔재 청산을 없애려 하기 때문이다.

일본이 군국주의의 망상을 아직도 잊지 못하고(아베 총리는 타 국가에 군사를 파견하는 것을 금지하는 평화 헌법을 개정하려고 하는 등 일본제국의 부활을 꿈꾸고 있는 상황이다) 이전 침략사에 대한 반성과 사죄가 없는 상황에서 단지 보상의 문제로 위안부 문제에 합의한 박근혜 정부의 역사관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현 정부의 생각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는 국정 교과서를 강요하는 것은 이 나라가 누구의 나라인지를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이 책이 말하고 있듯 국정교과서가 목표하고 있는 방향을 생각해보면 현 정부가 왜 국정교과서에 매달리는지 이유를 알 수 있다. 

친일 잔재가 남아 있는 지도세력의 일제시대 기록을 지우고 광복과 근대화의 공로자로 치장하여 자체 역사 왜곡을 만들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는 그들의 생각은 건국절 논쟁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일제 시대 끊임없이 항쟁해온 독립투사들의 이야기가 가장 잘 녹아 있는 것이 임시정부의 모습이다. 

이러한 임시정부의 존재를 무의미하게 만드는 것이 건국절이다. 다시 말해 일제시대의 모순은 어쩔 수 없는 것으로 서술하고 건국 이후 근대화의 주도세력이 되었다는 것은 강조함으로써 자신들의 친일 행적을 지우고 자연스럽게 정통성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이 책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반을 놓은 홍진(임시정부의 체계를 만든 분이지만 잘 알려있지 않아서 안타까운 분임)과 안창호, 임시정부의 초대 대통령을 지낸 이승만, 2대 박은식, 국무성 홍진, 주석 김구의 행적을 사료의 의거 잘 서술하고 있다. 또한 임시정부의 이론으로 삼균주의를 창안한 조소앙과 헌법을 기초한 신익희, 국내 진입 작전을 기획했던 총사령 이청천 등 광복군의 활동도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들은 대한민국 독립에 우리의 힘이 녹아져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미국이 만든 대한민국 독립이 제대로 된 청산을 만들지 못한 한국 근대화 역사에 우리 민족의 독립 열정이 남아 있음을 우리는 생각해야 한다. 

스스로 깨어 있지 않은 민족은 다시 다른 민족에게 지배를 당할 수 있다. 

조국 독립을 위해 싸우다 자신의 모든 것을 희생하신 분들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를 이 책은 잘 설명하고 있다. 역사학에서 사실 가장 밝히기 쉬운 근현대사가 아직 한국사에서는 어려운 부분을 우리 스스로 하나둘 해결해야 함을 생각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