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사회 - 타인의 공간에서 통제되는 행동과 언어들
김민섭 지음 / 와이즈베리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 서평] 대리사회 - 한국적 상황에서 만들어진 대리라는 직업을 통해 보는 한국사회 에필로그




지방시라는 말을 만들어낸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의 저자인 김민섭 님이 대리라는 직업을 통해 생각해보는 날카로운 한국사회 분석에 대한 책이다. 이미 지방시라는 말을 통해 가장 훌륭한 직업이 되어야 할 대학강사 자리가 한국 사회 가장 낮은 자리의 노동자보다 못한 취급을 받고 있음을 말했었다. 

지방시가 오를 수 없는 신분상승의 꿈에 달려가는 모습에 비유했다면 그는 대리사회를 책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조명조차 받지 못하는 주변인의 삶을 전하고 있다.


처음 시간강사를 시작하면서 생활에 대한 책임감 때문에 시작한 아르바이트인 맥도날드 매장 알바의 이야기부터 이 책은 시작한다. 학문의 최고 상아탑인 대학의 학생들을 가르치는 자리였지만 제대로 된 권리조차 누리지 못하는 시간강사의 삶에 비해 맥도날드 알바의 삶은 확실한 노동자의 권리를 상기시켜주었다는 말은 우리 시대 진정한 자기 주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 것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자신의 최종 목표를 가기 위한 하나의 관문이었던 대학 강단을 떠나면서 왜 떠나는지, 퇴직의 문제는 어떻게 처리할지 묻지 않았지만 1년 3개월을 근무한 맥도날드는 사유서 제출과 퇴직금 입금이라는 상황을 통해 자신이 노동자인 것을 알게 해줌으로써 확실한 자기 권리를 알게 해주었다고 말한다.


그가 가족의 생계유지를 위해 야간에 할 수 있는 일을 찾다가 만난 대리운전기사의 삶은 이러한 그의 생각을 더욱 확장하게 만든다. 

대리운전을 처음 시작한 날 그는 고객에게 자신을 어떻게 소개할 것인가를 고민했다고 한다. 그러나 손님의 "아저씨 빨리 와요"라는 말을 통해 자신의 남에게 통제되는 사람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작은 차 안에서 손님과 기사의 관계로 만나 어색한 1시간 내외의 동거를 통해 타인의 공간에서 통제되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관계는 자신이 지방시를 그만둔 후 원주를 떠나 파주로 들어와 대리기사 일을 전업으로 하게 되는 과정의 이야기를 통해 더욱더 선명하게 드러난다. 

과연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을까라는 질문은 대리기사에게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책의 제목을 대리사회라 지은 것은 이미 우리 사회 전체가 비주체적인 삶을 살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저자는 대리노동을 통해 얻어지는 소외에 비해 이렇게 창작을 통해 얻어지는 노동의 수익과 자신에 대한 소중함이 진정한 주체자로 나가는 길 임을 발견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도 가장 어려웠던 시절 대리기사를 한 적이 있어 공감이 많이 가는 책이었다. 대리기사를 하면서 많은 애환과 불평등한 계약에 속상해했던 기억들이 남아 있다. 협동조합 컨설팅을 하면서 대리운전협동조합의 교육 위원을 맡았던 이유이기도 했다. 

본인도 대리기사라는 직업을 통해 나를 새롭게 발견하는 시간이 되었음을 생각해본다. 우리 현실의 삶을 더욱 현실적으로 접근하게 만들게 된 그 아픔의 시간이 나를 성숙하게 만들었다. 

저자의 책을 통해 주체적 삶을 살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이제 겨울이 다가온다. 대리기사들이 가장 돈을 많이 버는 시기이면서 또 가장 어려움을 겪는 시기이다. 마지막 장에 대리기사를 붉은 포도송이로 표현한 것처럼 밤거리를 밝히는 그들의 발길에 행운이 깃들기를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