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이 정치다
송영애 지음 / 채륜서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리 서평] 음식이 정치다 - 밥은 백성의 하늘이다. 그래서 음식은 정치로 귀결된다.



문화를 읽는 코드는 다양하다. 저자는 음식에 담긴 문화적 의미에서 정치를 발견한다. 그것은 "밥은 하늘이다"라고 표현된 민중과 먹거리, 권력의 관계를 보고자 함이다.


고대로부터 밥이라고 표현되는 음식에 관한 것은 소유와 분배를 둘러싼 권력의 애증을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저자도 본문을 통해 많이 예를 들고 있지만 분배의 실패로 인해 권좌에서 쫓겨나기도 하고, 성공적인 결과물로 인해 칭송받기도 한다.

저자는 현대에 들어서도 이러한 음식에 담긴 코드는 유효하다고 말한다. 다만 새로운 문화적 변화의 내용이 추가로 입혀진 것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현대 음식의 중요한 코드를 저자는 다음 다섯가지로 표현한다. 다양한 먹거리 문화의 융합을 통한 '연대', 좀더 강하게라는 말로 표현되는 '자극성', 그러면서도 고유의 향취를 추구하는 지역성, 쉽게 변할 수 있는 '부패', 누구와 먹을 것인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메뉴'의 코드로 현대음식문화를 새롭게 해석하고자 한다.


특히 음식과 관련된 정치적 행위라는 문화적 코드를 통해 음식문화를 새롭게 해석하려는 모습은 매우 재미있는 시도라 생각한다.

그는 음식에 담긴 배반과 화합의 코드가 음식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였는지를 읽고자 한다. 특히 단식투쟁과 같은 음식 거부행위를 통해 나타나는 문화코드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가는지를 보는 것도 재미있기도 하지만 뭔가 배신감을 느끼게도 한다. 목숨을 담보로 하는 음식거부 투쟁이 가지는 정치적 행위가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한 마지막 시도처럼 보였던 것이 한낱 정치적 쇼로 보여지기도 한 모습으로 비춰졌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단식을 한다면서 곰탕을 몰래 먹었던 한 정치인의 쇼를 지적하는 이야기는 핵심적 코드가 변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 같아 씁쓸한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러한 쇼가 단골로 등장하는 것은 선거기간동안 재래시장 등을 다니면서 서민음식(?)을 먹는 모습을 연출하는 정치인들의 행태들이다. 족발이나 호떡을 먹는 모습을 통해 친서민적인 모습을 연출하려는 그들의 억지스러움은 음식이 상징하는 배반의 모습을 느끼께 해준다. 한 대통령후보가 족발을 먹으면서 서민음식이라 부르는 장면은 이들이 정말 서민을 말할 자격이 있는가를 생각하게 하는가 하면, 한 국회의원 후보가 수산시장 투어에서 생 개불알을 억지로 먹을 수 밖에 없는 음식테러(!)를 당하는 장면은 차라리 통쾌함을 느끼기도 한다.


비단 이러한 행위는 현재나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조선을 비롯한 역대 왕조에서는 흉년이 들면 왕 스스로 반찬을 줄이거나 끼니를 줄이면서 백성을 향한 마음을 포현하였는가 하면, 프랑스 시민혁명을 상징하는 구호인 "빵을 달라, 아니면 죽음을 달라"는 구호는 백성에게 음식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잘 보여주는 사례인 것이다.

이러한 코드는 음식 이름에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웰빙식품 중 하나인 숙주나물은 녹두나물이라 해야 하지만, 고려 충신 중 하나로 불리던 신숙주가 너무 쉽게 변절한 모습을 보고 너무 쉽게 상하는 나물의 특성에 이름 붙여 숙주나물이 된 것이라 전해진다. 백성들은 이렇게 나물에 빗대어 시대의 정치상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음식에 얽힌 다양한 정치 코드를 읽을 수 있다는 측면이 재미있는 책이다.

이러한 코드를 통해 우리 삶에 담긴 문화현상을 해석하는 재미를 가질 수 있어 좋은 시간이었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