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만강 아리랑 - 항일독립전쟁 유적에서 외치는 광복 70주년의 함성
최범산 지음 / 주류성 / 2015년 12월
평점 :
[역사
서평] 두만강 아리랑 - 항일정신이
살아 있는 역사를 통해 광복 70주년의 함성을 되살리자.
역사를 잊은 민족이 자신을 지킬 수 없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사실이다.
광복을 한지 70년이 되어가고 있지만 우리의 역사를 제대로 정리하지 못한 아픔은 지금도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만들고 있다. 이 책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가장 왕성한 활동을 한 두만강지역을 탐방하면서 우리의 조국 독립의 열정을 다시금
기억하고자 한다.
친일파들이 아직도 우리 사회의 주요 분야를 장악하고 있으면서 진정한 광복의 역사를 외면하고 있는
현실을 반성하고 선조들의 조국독립정신을 기억하고 새로운 역사정신을 다짐해야 한다.
두만강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항일운동의 역사를 따라가는 저자의 답사길에는 안중근의사, 윤동주시인,
김좌진장군, 홍범도장군 등 많은 독립열사들의 흔적들이 남아있다.
아쉬운 것은 정작 그러한 역사적 혼을 이어 받을 우리가 그러한 기억을 외면하고 있는 현실이다. 안중근
의사가 아시아 침탈의 원흉인 이토우 히로부미를 저겪했던 하얼빈 기차역에서 단지 삼각형 표시만 존재하는 모습, 일송정의 소나무를 어렵게 복원했던
것, 그곳의 노래들이 중국이 관리인에 의해 바뀐 것, 선구자의 작사, 작곡가가 친일파였다는 것을 숨겨왔던 것, 아직도 많은 항일투사의 시신 조차
한국을 들어오지 못하는 것은 물론 찾지도 않고 있는 현실 등은 우리가 독립정신을 기억하고는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버젓이 강단사학에 아직 친일식민사관학자가 남아 있는 현실이 아마도
이러한 것을 용납하게 만드는 원인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올바른 역사를 주장하는 일들을 역사학자가 아닌 일반 학문을 한 사람들이 다뤄야
하는 배경이 되게 만든다. 저자도 문학의 길을 걸으면서 자신의 상상력의 원천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역사를 만나게 된다. 아니 역사의 문제를
만나면서 그것을 알리기 위해 문학의 길을 걷게 되었다고 말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 그의 작품이 주로 역사적 담론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친일 식민사관의 가장 큰 문제는 역사적 정기를 외면한다는
것이다.
단지 역사를 연표의 나열이라는 의미없는 숫자 놀음으로 만들게 되면서
역사가 지금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상실하게 된 것이다.
일제가 우리 역사를 왜곡하면서 가장 크게 훼손한 단군역사의 신화화와
고조선사 부정은 지금도 우리 사학계가 안고 있는 문제라고 저자는 지적한다.
만주에 있는 민족학교가 단군정신을 가르키고 민족적 자부심을
길러웠다는 것을 이번 만주답사에서도 잘 보여주고 있다. 민족의 정신이 살아 있는 역사가 그대로 항일운동 맥락에 살아 있으며, 그 정신이 지금
우리에게도 이어져야 하는 이유인 것이다.
이 책은 독립운동 성지순례기이다. 일제의 청산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시기에 이러한 독립운동의 성지를 글로라도 볼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조국독립을 이루어낸 선조들의 후손이라면 이러한 생각을 당연히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나간 역사를 반성하고 올바른 미래 목표를 세우기 위해 이런 다양한
자료들이 더 소개되었으면 하는 생각을 해본다. 또한 점차 사라져가는 해외의 유적들을 보전하는 일이 하루속히 이루어졌으면하는 바램을
빌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