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지널스 - 어떻게 순응하지 않는 사람들이 세상을 움직이는가
애덤 그랜트 지음, 홍지수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인문 서평] 오리지널스 - 순응하지 않는 사람들이 세상은 움직이는 이유?




세상을 변화시키는 독창성은 천재들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람들의 생각이다. 저자는 천재들이 아니라 순응하지 않는 사람들이 진정한 세상의 변화자가 된다는 사실을 역설적으로 말하고 있다. 저자의 역설적 이야기를 통해 혁신의 정신이 어떻게 현실화되는지를 따라가보자.


저자는 누구나 창의성은 있다라는 말로 서두를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창의성이 현실화될 수 있느냐는 초기의 두려움을 극복하고 자신의 주장을 설득시키면서 지지자를 결집하는 길을 끝까지 걸었느냐의 문제라는 것이다.

창의성이 시작되는 길은 순응이냐? 독창성이냐 하는 두 갈래 길에서 어떤 선택을 하느냐의 문제이다. 한 IT회사에서 회사의 존속율을 분석해보니 크롬이나 파이어폭스 등을 쓰는 직원들이 더 오래 회사를 다닌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이유가 무엇일까 하는 원인을 찾아보니 결국 새로운 선택지를 찾고자 하는 노력이 있느냐의 차이였다는 것이라 나왔다. 결국 순응의 길을 택하는 사람들이 회사에 오래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독창성을 택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영역을 만들었다는 자부심때문에 더 오래 남아 있다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결국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택하는 사람들이 진정한 회사의 주인이 된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조직의 혁신을 끌어내는 사람들은 천재가 아니라 독창성을 선택하는 용기를 가지고 있느냐의 차이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택지를 완성하기 위해 지나친 자신감을 경계하라고 말한다. 마치 주식투자자가 포토폴리오로 관리하는 것처럼 혁신의 위험도 관리하라고 말한다.

이러한 자신감의 위험은 경직된 전문성에서 나오는 오류가 원인일 때가 많다. 경험은 매우 쓸모있는 도구이지만 오류를 만드는 원인이 되는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오류를 줄이는 방법은 서두르지 않는 것이다. 새로운 시장진입자보다 시장 주력기업의 혁신이 성공할 확률이 더 높은 것이 이러한 사실을 알려준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주장하기보다는 아이디어를 실천하는 방법에 동참시키는 것이 더 쉽다는 것이다. 익숙함을 만들어가는 전술적 방법을 선택하라는 것이다.

집단사고도 위험할 수 있다. 새로운 기업을 만들 때 전문가 중심, 기존 주력 중심, 헌신가 중심으로 했을 때 헌신가 중심으로 만들어진 기업들이 가장 성공율이 높은 이유는 전문가 집단의 위험성을 말해주는 사례이다.

문화적 혁신도 중요하다. 가장 혁신적인 기업으로 알려진 브릿지워터 어소시에이츠에는 독특한 문화가 있다. 반드시 색다른 의견을 말해야 한다는 문화가 그 것인데, 이 기업이 최고의 혁신을 만들어가는 이유를 잘 말해주고 있다.

저자는 평지풍파를 일으키되 평정심을 유지하라고 말한다. 사실 이것은 손자병법의 성동격서나 게릴라 전략에 나오는 이야기라 더 공감이 가는 이야기였다. 결국 변화의 핵심은 빠르게 움직이되 서두르지 않고 침착함과 용맹을 가지는 일이라는 생각을 정리해본다.


책이 제목을 오리지널스라 정한 것이 먼저 독특한 책이다.

애덤 그랜트가 왜 와튼스쿨의 4년 연속 최우수강의평가를 받았는지 잘 보여주는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학창시절에 오리지널을 다르게 불렀던 말이 생각났다. 오리도 지랄하면 날 수 있다라는 말인데, 결국 이 책의 모든 내용을 한마디로 설명하는 말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평범하지만 다르게 생각하고 그것을 실천하여 구체화하는 용기를 가질 수 있느냐는 바로 우리가 말하는 오리들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남들이 보기에 오리지만 백조가 되려는 목표를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