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어떻게 권력을 잡았나 - 정신의학자이자 여섯 아이의 아버지가 말하는 스웨덴 육아의 진실
다비드 에버하르드 지음, 권루시안 옮김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교육 서평] 아이들은 어떻게 권력을 잡았나 - 버릇없는 아이들을 키우는 현대 육아교육을 비판한다.




현대 육아교육의 선두주자라 할 수 있는 스웨덴의 육아교육 현실을 통해 우리가 정말 올바른 육아교육의 길을 가고 있는지를 생각해보는 책이다. 저자는 무한한 자유를 보장하는 현대육아교육의 정신에 대해 반성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육아교육의 시작은 사실 임신을 하면서 시작된다.

다양한 금기와 사회적 압력(?)때문에 배 속에 있는 아이는 세상에 나오기도 전에 교육의 길이 시작된다.

문제는 현대 이전에는 가정과 마을이라는 공동체적 관점에서 교육이 행해졌지만 현대에 들어와 학교가 이것을 떠맡으면서 공동체성이나 인격 등을 강조하는 전통이 효율성을 강조하는 교육으로 바뀌었다는 데에 있다. 여기에 아이들을 대상으로 돈을 버는 사람들이 생기면서 자연스럽게 교육에도 자본주의의 습성이 스며들게 된다. 결국 정신의 가치보다는 물질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 바탕에 깔려있는 것이다.

현대 육아교육의 핵심은 아이를 자유롭게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체벌도 안되고 야단쳐서도 안된다는 것이다. 아이들이 하고싶은대로 자유롭게 해주어야 큰 포부를 펼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이 자리잡고 있다고 저자는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아이들을 어쩌지 못하는 어린이같은 어른들이 양산되면서 교육 시스템에 모든 것을 맡기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과연 이러한 문제가 올바른가 하는 비판을 이제는 해야 하지 않나 질문을 던지고 있다.


정신의학자인 저자의 이력답게 이러한 교육 시스템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 지 잘 말해주고 있다.

과보호에 의해 자란 요즘 젊은이들이 정신적으로 약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더구나 자유롭게 자란 아이들이 버릇까지 없어져서 사회의 문제를 만드는 것도 문제이다.

문제는 이러한 행태들을 바로잡을 시스템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스웨덴 육아교육의 권위자 '안나 발그렌'은 "7세까지 부모는 슈퍼맨이다. 하지만 그 뒤부터는 내리막길 뿐이다"이라는 말로 요즘의 현실을 잘 표현하고 있다.


미국의 진화생물학자인 '로버트 트리버스'는 교육은 상호적 배타주의의 산물이라고 본다. 일반적인 동물들은 적자생존의 법칙이 우선하지만 사람들은 관용성을 베품으로서 상호진화에 유리함을 배웠다는 것이다.

이 말은 공동체 속에서 전해내려가는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말해주고 있다.

오늘 저자는 물질보다는 정신의 중요성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함을 말하고 있다. 선택과 자유를 주되 책임은 강조하지 않는 지금의 교육은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창피함을 가르치지 않는 사회가 낳는 많은 문제들을 치유할 수 있는 정신의 강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저자는 가족이라는 단체가 육아교육에서 가장 중요하다 강조한다. 교육이 국가의 일이 아니라 나의 문제, 내 가정의 문제라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많은 지식을 가르치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아실현의 길을 걸을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 육아교육의 핵심은 우리 선조들의 정신에 잘 남아 있다. 세 살 버릇 여든 간다고 하는 속담은 세 살 내에 버릇을 잡지 않으면 아이들의 문제를 고치기 힘든다는 것을 말한다.

스스로 결정하게 하고 결정을 한 이상 책임감도 통감하게 하는 교육, 바로 이러한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