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플러스 혁명 - 2025 중국의 미래를 결정할 국가전략리포트
마화텅 외 지음, 강영희.김근정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경제
서평] 인터넷 플러스 혁명 -
2025년 중국의 미래를 위한 국가전략 리포트 "중국은 뛰어가는데, 한국은 뒤로 가는구나"
인터넷 플러스라는 개념은 IT산업과 기존 산업의 분리를 전제하고 있는 지금의 경제구조를 넘어서서 전통
산업과 인터넷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미래성장동력을 만들자고 하는 개념이다.
이 책은 중국의 인터넷 상위 사업자를 포함 정부와 각계 산업계를 대표하는 100인이 모여 2025년
중국의 새로운 산업구조의 재편을 만들어가는 인터넷 플러스 개념을 명확하게 정리하고자 하는 리포트 성격을 가지고 있다.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를 총합하는 말)의 위력을 통해 중국 경제의 새로운 동력을 만들어 냄은 물론 세계 경제에 새로운 화두를 제공하려는 야심찬 목표를 가지고
있다.
텐센트의 장샤오펑 수석부사장이 말하고 있는 "웨이신은 궁전이 아니라 숲"이라고 하는 말과 경계를
뛰어넘어 모든 것을 연결한다는 개념이 인터넷 플러스의 중요 개념이 되고 있다.
앞의 말에서 상징하는 것은 인터넷 플러스의 중요 개념을 수행하는 플랫폼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면
후자는 한정된 영역의 연결이 아니라 전 산업부분의통합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래서 인터넷 플러스 설계는 인터넷 산업군으로 한정된 것이 아니라
사회의 모든 영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인터넷 플러스가 전망하는 역할은 다음과 같다.
신장타이라 불리는 내실의 성장을 꽤한다. 인터넷의 결합을 통해 기존 산업의 구조조정을 목표 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전제하고 있다.
신직종과 연착륙을 통한 구조 조정을 꽤한다. 인터넷과 기존 산업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창업의 유도와
산업군 재편을 목표하고 있다.
기존 산업의 융합을 통해 생태계 전면적 개편을 추구한다. 모든 영역의 융합을 전제로 하여 국가 전체
경젱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물론 이러한 개편에 대해 인터넷 산업군과 정부관계자, 일반 산업관계자의 견해가 조금은 다르긴 하지만
큰 그림은 동의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들이 대중의 협업을 통한 만인의 혁신을 강조하는 반면 인터넷 기업군은 개방형 생태계를
강조하면서 신뢰 기반의 관계성을 강조한다.
결국 이러한 새로운 혁명은 국가 정책의 변화와 데이터 보안과 사용자의 보장을 통한 스마트
민생발전이라는 목표를 가지게 될 것이다.
이미 이러한 인터넷 플러스는 다양한 산업군에서 보여지고 있다.
공유경제를 전제로 하는 서비스 산업, 공공영역의 경쟁력 제고(의료, 복지 등), 다양한 영역의 결합을
통한 콘덴츠를 만들어가는 스타 IP산업군, 소셜 커뮤니티를 통한 창업 공간, 소셜 제조, 소셜 농업 등 다양한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중국의 인터넷 산업이 이정도로 발전을 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더구나 국가적
차원에서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는 점이 너무 부러웠다. 물론 남의 상황에 배가 아픈 것은 아니지만 오히려 퇴보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한국
인터넷의 현실을 생각해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한국이 정말 IT 강국이라는 이름을 계속 유지하려면 중국의 행보에 대해 정말 고민을 많이 해야 한다
생각한다. 뛰고 있는 중국 현실에 우리는 어떤 모습을 가져야 하나 고민을 해보는 시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