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6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16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 서평] 트렌드코리아 2016 - "원숭이의 해" 위기의 터널을 재치와 기지로 극복하자.



"붉은 원숭이의 해"인 병신년 2016년이 목전에 다가왔다. 한해를 정리하기에는 아직도 해야 할 것이 많이 남아 있는 것 같은 시간이지만 이제 우리는 어디까지 달려왔으며, 또 앞으로 어디를 향해 가야 하는 지를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이 책은 한 해동안의 트렌드를 분석해 2015년 대한민국이 열광하고 행동했던 가치들을 분석해보고 새로운 한 해에는 무엇이 우리들을 기다리고 있을까를 생각해보는 책이다. 다양한 주제와 개념들을 통해 대한민국이 사로잡혀 있던 개념들을 생각해보자.


저자는 자만한 원숭이처럼 자기 자신을 믿고 나무에서 떨어지지지 말라는 말로 시작한다. 2016년 한 해 대한민국이 정말 슬기롭게 헤쳐나가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2015년 우리의 뇌리에 남아 있는 단어는 "경기 침체", "SNS", "많은 사건과 사고", "인간의 욕망"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어려움도 있었지만 새로운 유행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단 맛의 부활을 가져온 허니버터칩은 우리가 장기 불황에 들어 왔음을 알려주는 신호라 말한다. 단기적 불황의 경우 매운 맛이 유행하지만, 장기적 불황의 경우 단 맛이 유행한다는 조사가 나와있기 때문이다.

또한 햄릿증후군이라 불리는 사건과 사고에 대한 반응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경향성은 만족을 찾기보다는 최적의 조건을 찾으려하게 만든다. 중국의 저가제품의 유행이나 소형 SUV 등의 유행이 이를 증명한다.

이 외에도 O2O라 불리는 옴니채널의 시작, 덤 시장의 활성화, 시니어 세대의 부활 등이 2015년의 화두를 만든 단어이다. 아마도 이런 단어가 새해에는 더 강화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2016년의 트렌드를 만들 10가지 단어를 저자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플랜Z, 과잉근심, 1인 미디어, 브랜드 몰락, 연극적 소비, 원초적 본능, 대충 빠르고 있어 보이게, 아키텍 키즈, 취향공동체가 그것이다.

전반적인 내용은 내년에 더 심화될 경기침체의 골을 가정하고 있다. 그래서 나만의 플랜을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잦은 사고와 구체적인 사건 전달로 인해 만들어진 과잉근심은 램프증후군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공포마케팅이라는 새로운 유행도 만들어낼 것이라 예견하고 있다.


전반적인 내용이 좀 암울한 내용이라 아쉽기는 하다. 우리 사회가 희망을 얘기하기에는 너무 가혹한 현실을 느끼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긴 한다.

그러나 나는 생각한다. 한국은 정말 행복한 나라라고 말이다.

경제의 어둠을 말하지만 적어도 굶는 사람은 없는 나라가 한국이다. 아직 세계에는 굶주림에 허덕이는 인구가 10%나 된다. 더구나 경제 수치로는 대한민국 국민은 전 세계 10%에 들어가는 사람들이다. 물론 빈부의 차이가 많지만 그것은 사회가 함께 극복해야 할 문제이다.

특히 내년은 나라의 일꾼을 뽑는 국회의원 선거가 있는 해이다.

국민에게 희망을 가져 올 현명한 일꾼들을 뽑는 일에 더 힘을 써야 할 것이다. 그래야 진정한 국가의 비전을 함께 만들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