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사를 보다 1 : 회화사.조각사.도자사 - 이미지와 스토리텔링의 미술여행 한국미술사를 보다 1
심영옥 지음 / 리베르스쿨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술 서평] 한국 미술사를 보다 - 우리 미술에 나타난 멋과 예술



 


한국 미술의 다양한 멋을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다양한 화보와 삽화를 통해 우리 미술작품의 아름다움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회화와 조각, 도자기의 3 파트로 소개하고 있다.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우리가 가지는 아름다운 유물들을 소개한다. 이 책을 보면서 우리 작품의 뛰어난 아름다움은 물론 그 시대의 생활상까지 알려주고 있다. 그래서 우리의 역사에 대한 넓은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좋은 책이라 생각된다. 다양한 작품들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의 이해를 넓히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좋은 참고서가 될 것이다.

하나 아쉬운 점은 좀더 정확한 고증과 우리의 비전을 심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고구려벽화에서 나온 그림 설명 중 춤추는 사람들의 옷을 설명하면서 팔이 꺽인 것 같다는 표현은 잘못된 표현이다. 당시의 춤이 긴 팔 옷을 넘긴 긴 옷을 입고 추던 춤이라 자연스레 팔이 내려지는 것 같은 모습인 것이다. 처음 책을 읽는 학생들이 잘못된 지식을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아 사족을 붙인다.

이 책을 읽으면서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어 좋았다. 

회화 부분에서는 선사시대 암각화를 보면서 아마 청동기시대에 만들어졋을 것이라 추측하는데 그 단단한 바위에 청동기를 사용했다는데 너무 세세한 표현은 그게 가능했을까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우리 선조들이 기술이 좋은 것이 아니면 정말 수고를 많이 했을거란 생각이 들었다.

우리의 미술사가 훌륭한 것은 중국의 화풍을 받으면서도 그것을 그대로 흉내내는 것이 아니라 독창적으로 다시 재창조했다는 것이다.  특히 조선시대 진경산수화는 중국의 산수화풍이 성리학의 학풍으로 동양의 사상을 담는 것을 추구하는데비해 진경을 담으려는 독특한 화풍을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의 그림에 담겨진 화풍이 고려시대 불교에서 조선시대 유교라는 틀을 통해 변화해가는 모습도 재미있는 것 같았다. 이것은 조각에서 더 잘 나타나는데 삼국시대의 불상이 사실적이거나 민중에게 친근한 이미지로 접하다가 고려시대에 들어서면 국가종교의 이미지답게 무뚝뚝하고 위압이 느껴지는 이미지로 바뀌어진다. 그러다 고려 후기에는 온화하면서도 완숙미를 풍기는 모습을 보면서 불상의 얼굴만 보더라도 이것이 어느 시기의 작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는 점이 재미있었다. 

우리의 미술사에 불교미술이 많은 것은 당연하다. 삼국시대에 들어 온 불교가 이어 온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재미있는 것은 불교의 불상이 삼존불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현세불인 부처상이 중앙에 있고 양 옆으로 과거불인 장광불, 미래불인 극락불이 같이 등장하는 것이 기독교의 삼위일체론과 닮아있다. 

고려청자에서 분청사기로, 분청사기에서 조선백자로 발전하는 도자기의 역사는 왜 조선의 예술이 세계적인 것인가를 잘 알려주고 있다. 이렇게 좋은 우리의 역사적 산물을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책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