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저 - 똑똑한 조직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캐스 R. 선스타인 & 리드 헤이스티 지음, 이시은 옮김, 김경준 감수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경제 서평] 와이저 - 개인의 편견과 오류를 넘어 완벽한 집단지성으로 나아가는 법은?

바야흐로 SNS의 시대가 되면서 집단지성이 각광받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나 집단의 개인들이 침묵에 잠기면서 편향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벌어지는 개인의 실수가 집단으로 증폭되면서 더큰 집단오류로 나타날 수 있다고 저자는 경고하고 있다. 역사상의 많은 집단광기는 이러한 집단오류에서 출발했으며, 이러한 오류를 줄이는 길은 개인과 집단의 의사결정 상호메카니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침묵이 일상화된 집단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오류는 집단에서 증폭된다. 이것을 폭포효과라 말한다. 결국 개인의 실수가 조직적으로 확대되면서 편견과 오류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것은 자신이 생각하는 긍정적은 측면을 증가시키는 반면 부정적인 요소는 약화시키려는 편향때문이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숨겨진 정보다. 침묵의 일상화가 정보공유의 단절을 가져오고 이것이 결정적인 편향을 만드는 요소가 된다는 것이다. 결국 집단의 극단화가 일어나는 문제는 숨겨진 정보가 가장 큰 원인이라는 것이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숨겨진 정보를 해소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오류를 줄이는 조직을 만드는 방법을 저자는 다음과 같이 8가지 방법으로 정리한다.

1. 리더의 호기심과 과묵함을 즐겨라 ; 대부분 리더의 생각이 그대로 집단의 생각으로 만들어지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리더는 다양한 정보에 대한 관심을 가지되, 자신은 수렴자의 입장에서 논의의 진행을 지켜보는 것이 필요하다. 리더가 말하면 그대로 조직의 방침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2. 비판적 사고를 점화하라 ; 상황에 대해 비판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듦으로서 편향으로 벋어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한다.

3. 집단 성공의 보상책을 만들어라 ; 집단의 성공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서 조직적 결정에 스스로 참여하는 분위기를 만들어라.

4. 숨겨진 정보 찾기 역할자를 설정하라 ; 조직의 정보소통의 끊어짐을 파악할 수 있는 담당자를 설정하라.

5. 단순하고 확실한 관점으로 변경하라 ; 복잡한 방향성을 간략화시켜라.

6. 자발적 침묵 파괴자를 설정하라 ; 반대파의 입장에서 변호하는 '악마의 변호인'을 설정해줆으로서 다양성을 집단에게 각인시켜라.

7. 최악의 상황을 최고의 상황으로 만드는 레드팀을 구성하라.

8. 익명을 활용하여 편향을 깨는 델파이기법을 도입하라 ; 이미 많은 기업의 소통문화를 개선한 바 있는 델파이기업을 활용하여 편향적인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노력을 하라.

이러한 기법을 활용한 조직의 운영을 통해 정보소통의 원활함을 가진다면 현명한 조직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말한다.

이러한 조직의 실행방안으로 식별과 선택을 분별하여 단계적인 입장 수립하기, 토너멘트 설계법을 활용하여 정확한 모델링 만들기, 다양한 정보를 수용하여 만드는 예측시장의 활용을 통해 정확한 목표점 찾기 등을 활용한다면 저자가 말한대로 똑똑한 조직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말하고 있다.

 

새로운 시대 새로운 환경에 맞추어 새로운 조직의 움직임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정말 재미있는 책이 될 수 있겠다. 특히 집단지성이 아니라 집단광기로 변질될 수 있는 SNS의 위험성에 대한 올바른 접근법을 생각할 수도 있는 책이다. 숨겨진 정보의 오류와 집단의식 결정의 편향을 극복하고 정보소통과 올바른 결정의 방향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좋은 공부를 했다는 생각이다. 올바른 정보의 공유자로 좋은 설계를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