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당은 마음속에 있다 만화 최창조의 풍수강의 1
최창조 지음, 김진태 만화 / 고릴라박스(비룡소)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 서평] 명당은 마음 속에 있다 -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진정한 명당은 무엇일까를 생각해보는 책



풍수를 생각해보면 현대적인 이 시대에 맞지 않는 학문이라고 치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에게 아직도 회자가 되고 있는 것은 복을 받고 싶은 인간의 욕망과 인간의 삶에 대한 편리성을 추구하는 지혜가 담겨 있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풍수 라는 말은 장풍득수(障風得水: 바람을 피하고 물을 얻는다)라는 물을 약한 말이다. 인간의 삶을 영유하게 해주는 집터의 조건에 바람과 물의 이용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성 때문에 풍수라는 학문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저자는 자연을 안락하고 편리하게 하는 욕망과 지혜의 학문이 바로 풍수라는 학문이라고 말하면서 풍수가 인간의 삶과 연관이 있다고 말한다. 


풍수에는 묘지를 잘 선택하려는 음택과 집터를 잘 선택하려는 양택으로 나뉜다. 

특히 음택에서 얘기하는 조상의 은덕이 무덤터를 통해 후손에게 미친다는 논리 때문에 조선시대에는 많은 송사가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송사를 신송이라고 하는데 지나친 조상숭배의 예로서 외국사람들에게까지 희자되기도 했다. 이를 유교의 잔재라 말할 수도 있지만 조상의 은덕을 받아서라도 후손의 안위를 생각하는 친족 중심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세계관을 현대에 이르러는 많이 퇴색되기는 했지만 아직도 그 뿌리가 남아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좁은 국토의 환경에 효율적인 사용을 추구해야 하는 요즈음은 조금은 새로운 해석이 필요한 상황이라 생각하지만 풍수론에서 말하는 동기감응론은 아직 이러한 해석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동기감응은 죽은 자의 무덤이 자손들에게도 작용을 한다는 이론이다. 이미 많은 통계들은 이러한 생각이 과학적이지 않다는 것을 말하고 있지만 우리는 쉽게 이러한 생각을 벗어던지지 못하고 있다.


양택에서 중요한 것은 산세와 물의 흐름이 어떤 상황을 하고 있느냐의 문제이다. 혈자리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이는 고대부터 이러한 뿌리가 이어졌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주작(남: 손님을 상징), 청룡(동: 남자, 장자를 듯함), 현무(북: 주인을  뜻함), 맹호(서: 여자, 차남을 뜻함)을 뜻하는 사신사를 상징하는 산세를 보고 정한다. 

특히 선조들의 집터를 보면서 고구려나 백제가 중국의 풍수를 따르는데 비해 신라가 우리 고유의 풍수를 유지했다는 점에서 우리 풍수의 사상을 점도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이중환의 택리지에서는 인간이 잘 사는 마을의 조건을 지리, 생리, 인심, 산수를 말한다. 수구관쇄(산하금대)가 말하는 사람이 살만한 물길이 있으며, 넓은 터과 아름다운 산세가 있고, 굵고 단단한 모래땅이 있는 것을 뜻한다. 동고서저와 배산임수의 형상을 하고 있는 곳, 특히 물이 감싸 흐르듯이 안고 흐르는 곳이 좋은 집터라고 말한다. 


물론 이러한 풍수가 미신이라 치부할 수도 있지만 저자는 우리의 삶을 통해 얻은 지혜를 풍수라는 학문으로 녹여내었다고 말한다. 개인적으로는 화장을 권하는 편이라 음택에는 관심이 없지만 좋은 집터와 좋은 마을을 만드는 양택이론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학문이라 생각해보며 작은 지혜를 활용하는 날이 오기를 기대하면서 책을정리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