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적과 함께 사는 법 - 오늘을 살리는 과거 청산의 현대사
김지방 지음 / 이야기나무 / 2013년 10월
평점 :
[사회 서평] 적과 함께 사는 법 - 깨끗한 과거청산, 그것이 통합의 미래를 연다
한국사회의 갈라진 분열의 모습을 보면서 어떤 분들은 조선말기가 다시 돌아왔다고까지 말하는 분이 계신다. 아마도 스스로 분열된 우리의 모습으로 인해 조국을 빼앗긴 역사를 되짚어보려는 말씀일 것이다. 그러나 그 말이 헛으로 안들리는 것은 그만큼 분열된 우리의 모습이 걱정되기 때문이다.
이책은 갈등의 역사를 겪고 그 후유증을 처리한 다섯 나라의 사례와 한국의 우파와 좌파의 문제를 치유한 두 사례의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통합을 위해 생각할 일이 무엇인지 말하고자 하는 책이다. 남아공의 흑인차별에 대한 치유의 역사, 킬링필드라 알려진 캄보디아의 국제재판소, 아르헨티나의 백색테러 희생자들에 대한 오월광장 할머니 모임의 이야기, 프랑스의 2차세계대전 부역자들에 대한 처리과정, 미국의 흑인차별 이야기들을 통해 통합의 조건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좌파로 인한 희생의 대표적인 사건인 여순반란사건과 우파로 인한 희생의 사건인 518광주항쟁의 이야기를 정리하고 있다.
물론 저자는 어떤 결론을 말하고 있지는 않는다. 사건의 기술과 하나의 소설처럼 엮어내려간 이야기들을 통해 적어도 통합의 기본적인 조건을 책을 읽는 독자들이 스스로 판단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정확한 과거청산만이 좋은 미래의 역사를 열 수 있다는 것은 정확히 하고 있다. 애매한 과거청산은 모두를 떳떳하지 못한 과거의 역사의 발목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라 저자는 말하고 있는 것이다.
가해자와 피해자의 내용을 잘 정산하는 것이 과거청산이라 할 수 있다. 앞에서 말했듯이 이책에서 말하는 일곱가지 사례들은 각기 다른 배경과 사상, 다른 처리방식을 통해 청산의 문제를 진행되었다.
먼저 남아공의 문제는 흑인차별정책을 법제화한 아파르헤이트에 대한 문제에서 시작되었다. 이제는 고인이 된 만델라대통령의 당선으로 인해 아파르헤이트로 인한 백색테러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고 2만 1,290건의 피해사례가 접수되었다. 만델라대통령은 자기 자신의 죄를 정확히 밝힌 사람에 대해 과거의 죄를 사면하는 정책을 결정하였다. 많은 반대도 있었지만 이 정책을 통해 7,112명의 사면신청과 1200명의 사면이 진행되었다. 전기고문으로 인한 살해나 흑인말살을 시도하려 마약이나 매독을 확산시킨 사례도 있어 이러한 사면에 대해 많은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는 사람도 있었지만 이러한 모든 것을 역사에 기록해 남긴 것을 통해 새로운 통합의 시대를 연 것만은 분명하게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캄보디아의 킬링필드는 좌파의 광신사회가 빚은 비극이다. 캄보디아의 과거청산은 초법적 국제사법재판소가 만들어지고 캄보디아가 참여하는 다소 새로운 모습으로 만들어졌다. 물론 베트남과 미국의 이해관계로 인해 이런 모습이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이러한 재판으로 인해 캄보디아의 비극이 세계에 알려지게 된 것이다. 국제적 재판의 결과 킬링필드의 범죄자들은 처벌을 받았으며 새로운 미래를 여는 계기가 되었다.
아르헨티나의 사례는 우파군사정권의 폭력으로 인해 만들어진 비극이다. 라푼젤로 대표되는 아르헨티나의 비극은 비밀납치와 살해로 부모를 잃은 자식들을 다른 사람의 자식으로 입양해서 만들어진 이름이다. 현재 500명 정도로 추산되는 라푼젤의 비극은 처음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피해자들의 할머니들이 오월광장에 모여 자시의 손자손녀들을 찾으면서 시작되었다. 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얻어 조모의 유전자를 활용해 찾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나 아직도 현재진행형인 사건이다.
프랑스의 사례는 제2차세계대전때 독일에 부역한 사람들을 학살하는데서 시작된다. 처음 레지스탕스가 주도가 되어 부역자들을 학살하고 여자들의 머리를 잘라내고 구타를 하던 상황에 대해 과거청산의 모습은 숙청으로 시작된다. 그러나 알베르 카뮈 등이 주도가 되어 이 사람들을 용서해줄 것을 말하는 용기로 인해 새로운 치유를 시도하게 된 것을 말하고 있다. 결국 과거청산은 화풀이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용기있는 지성인은 말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카뮈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것이다.
미국의 흑인차별의 역사 청산이나 여순반란사건으로 인해 두 아들을 죽인 좌익 학생을 용서하고 양자로 받아들인 손양원 목사의 이야기, 광주 518사건의 치유를 위해 트라우마센터를 만들고 국가폭력의 피해자들의 아픔을 치유하는 사례 등을 보면서 시대의 아픔을 다시 만들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을 저자는 말해주려 하고 있다.
이책을 읽으면서 생각하는 것은 우리는 마치 사상이 나의 현실보다 더 중요한 것이라 생각하고 살 때가 많다는 생각을 해본다. 어떤 분이 지금의 시대를 조선말기로 비유하던 것을 본인이 생각하면 떠오르는 것이 실학이다. 왜? 시대의 사상인 유학의 문제를 생각하던 사람들이 새로운 학문으로 실학이라 칭하였을까 하는 것이다. 그것은 현실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지금 시대는 바로 이러한 실학이 필요한 시대이다. 자본주의냐 사회주의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혹은 어떤 분이 이야기하는 종북이냐 꼴통 보수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우리 시대의 미래를 어떻게 만들어가고 그러한 방향에 대해 구체적인 실천의 목표를 생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성을 생각할 때에는 모두가 함께 할 수 있는 삶의 방향을 강구해야 만이 가능한 일이 될 것이다. 바로 이러한 통합의 생각을 아마도 저자는 고민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지금의 시대는 혼자 만들어가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 너와 내가 협력의 시대를 만들지 않으면 공멸의 시대가 되고 있는 것이다. 시대가 대통합의 지도자를 원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소통의 전제인 청산의 문제를 정리하지 않고는 누구도 통합의 지도자가 될 수 없는 것이다. 지정한 시대의 미래를 여는 과감한 통합의 지도자를 우리 민초들은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