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유사 - 천년고찰 통도사에 얽힌 동서양 신화 이야기
조용헌 지음, 김세현 그림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신화 서평] 통도유사 - 천년고찰 통도사의 전설을 통해 생각해보는 신화이야기

 

 

천년의 고찰 통도사에 서려 있는 이야기들을 통해 생각해보는 신화의 이야기는 우리 삶에 여유와 함께 용기와 신념을 통해 세상을 새롭게 이해하게 하는 힘이다.

저자는 유사체의 재미를 통해 통도사를 느껴보자는 이야기를 한다. 그것은 역사를 서술하는 방식 중 삼국사기와 같이 눈에 보이는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기술하는 방식과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적 세계의 이야기까지 끌어들임으로서 가치관의 문제를 접근하고자 하는 삼국유사의 관점이 있다 말한다. 저자가 유사체라 말하고 있는 것은 어떤 사실의 배경에 있는 정신적 근원이나 인간의 추구를 살펴봄으로서 신화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깨닫고자 하는 것이다.

 

이책은 크게 네 가지 신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첫번째는 통도사 창건에 관한 이야기이며, 두번째는 통도사에 관련된 용의 이야기, 세번째는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통도사의 의미에 대한 신화와 다섯번째로 통도사의 인물에 대한 신화의 이야기이다.

먼저 통도사 창건에 대한 신화를 통해 나무오리를 날려보내 그 오리가 물고 온 칡꽃이 있던 곳에 터를 잡았다고 하는 이야기는 사실 오늘날 우리에게는 한낱 이야기에 불과할 수도 있는 이야기일 것이다. 그러나 저자는 그 속에 담겨 있는 의미를 찾아낸다. 우리 선조들이 가지고 있던 새에 대한 신비감과 특히 오리를 영험하게 생각했던 우리 선조들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옛날 사는 동네의 어귀에는 솟대라는 나무오리장식이 있었다. 이 장식은 손님을 받아들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듯이 나무오리가 가져단 준 의미는 곧 사람이 머물 수 있다는 뜻일 것이다. 

통도사를 지키는 영축산이 독수리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산이며, 난생신화를 가지는 신라의 신화처럼 새가 가지는 의미는 우리에게 매우 소중한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이다.

 

용은 우리에게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신화 중 하나이다. 통도사의 마르지 않는 샘물 구룡신지는 아홉마리 용의 전설이 있다. 통도사 창건 당시 자장율사가 이 못의 용을 없애기 위해 부적으로 불을 붙여 못을 뜨겁게 하여 용과 싸운 이야기나, 5마리 용은 도망가고 세마리 용은 바위에 부딛혀 죽고 눈먼 용이 빌어 그 못을 수호하는 용이 되라고 했다는 이야기를 통해 통도사의 신험을 말하고 있다. 일한 영험한 능력이 통도사가 천년을 버티는 힘이 되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용의 신화가 조선의 유교가 들어오면서 왕만이 사용할 수 있는 용의 이미지를 없애기 위해 소가 누워있는 산으로 바꿨다. 오늘날의 상징조작과 같은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구하스님이 다시 용의 신화로 복원하는 과정은 우리에게 신화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게 해준다.

 

천상과 인간의 세계를 잇는 의미의 산사의 모습은 사찰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해준다. 그러한 이미지를 산사의 각 건물에도 배치하고 있는 것이다. 극락전을 통해 지혜를 고민하게 하는 이야기든지, 속에서 성으로의 진입을 느끼게 하는 금강계단의 이미지가 그것이다. 이러한 이야기를 느끼면서 다시금 사찰을 느껴본다면 전혀 새로운 느낌으로 사찰의 의미가 다가올 것이다.

통도사는 많은 인물이 나온 사찰이기도 하다. 아마도 그러한 힘의 정기가 사찰에 서려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오늘 이책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한낱 모든 것에는 의미가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에게 들려주는 신화의 이야기를 통해 천년사찰의 의미를 발견하고 그러한 의미를 오늘의 시대에 어떻게 투영할지는 각자의 몫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의미를 발견하지 못하고 그저 지나가는 이야기로 끝내버린다면 사라져가는 한낱 재밋거리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신화를 통해 인간 해탈의 문제와 소통의 문제를 고민했던 선조들의 지혜에 대해 접근해보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