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의 전략 - 노벨경제학상에 빛나는 게임이론의 바이블, 노벨경제학상 수상작
토머스 셸링 지음, 이경남.남영숙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노벨 경제학상에 빛나는 게임이론의 바이블 [갈등의 전략]

 

 

갈등을 뛰어넘는 상생과 통합의 전략! 노벨경제학상이 3번이나 선택한 게임이론으로 풀어낸 갈등과 협력의 정수를 생각해보는 책이다.

이 책은 2005년 셀링교수가 게임이론을 통해 갈등과 협력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 공로로 노벨경제학을 안겨준 첫 저작이다. 그는 현실과 동떨어진 이론에 치우친 경제학이 아닌 우리들의 삶에 담긴 현실적인 문제해결을 위해 고민하는 과정에서 이 이론을 발전시켰다. 

가령 백화점에서 남편이 아내를 잃어버렸을 때, 특정도시에서 어느 사람을 만나야 할 때, 고장으로 인해 추락한 전투기의 조종사가 다시 만날 장소를 정하지 않았을 때 어떻게 다시 만나야 하는가 등의 고민이다. 사실 이러한 문제를 경제학으로 풀어낸 다는 것 자체가 특별한 모습으로 비쳐질 수도 있다. 그러나 많은 갈등의 상황이 경제에 영향이 끼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기에 이런 추론의 발전이 사회에 도움을 주는 경제이론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으로 인해 가끔 뉴스에서 나오지만 어떤 사건이 발생했을 때 이떤 금액의 산출로 피해나 이익을 말하게 된 것이다.

갈등의 전략은 게임이론에 대한 책이다. 게임이론에서 가장 많은 것을 차지하는 것은 정해진 룰대로 경쟁하는 것보다는 다양한 변수를 가진 게임이다. 사실 이러한 게임이론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전쟁이나 사회갈등을 매우 간략화시켜 다양한 변수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도 말하고 있지만 갈등은 흥정을 전제로 한다. 그래서 서로 합당한 타협점(이책에서는 포컬포인트라고 말한다)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게임이론은 상호의존적 결정에 관한 이론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속에는 위협과 언질, 타협과 대결이라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위협과 언질이 효과를 발휘하려면 행위자의 평판이 중요하다. 일관된 모습으로 비쳐지지 않는다면 위협이 효과를 발휘하기 힘들다. 

이러한 위협이나 언질을 가지고 협상을 하게 되는데 협상에는 명시적 협상과 묵시적 협상이 있다. 명시적 협상이라도 묵시적 협상이 이미 개입되어 있기대문에 사건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는 것이 중요한데 이것은 사건에 대한 경험적 테이터를 많이 가지고 있느냐의 영향을 받는다. 

대부분의 게임은 이미 위에서도 말했지만 가변합과 가변비를 가지는 변동합의 게임이다. 복합동기적 게임이라고도 부르는데 이것은 조율게임과는 다르게 선수(先手)가 매주 중요하다. 상대의 이익을 잘 생각해보고 상호조정의 역동성에 바탕을 둔 타협점을 찾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서로에 대해 비대칭적인 힘과 선례가 중요하다는 것, 선수의 영향 등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항상 대비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기습공격은 사실 허를 찔리기 때문에 대비하기가 쉽지 않다. 상대방의 기습능력을 둔화시키고, 협상의 자세를 통해 견제를 가짐으로서 기습공격의 가능성을 줄여야 한다. 이러한 요인은 상대방에 대한 감시체계를 만들게 되는데 서로의 과도한 감시체계의 가능성도 만들게 된다. 대화의 채널 확보를 통한 대화확보가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개인적으로 매우 좋아하는 경향의 책이라 읽게되었는데 생각보다 번역은 좀 떨어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확률적 계산에 치중해 관심을 갖고 있었던 다양한 사회게임이론과 연구, 활용의 예는 보기 힘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사회의 다양한 현실들을 게임을 통해 분석해내고 어떤 부분에 강조를 둘 것인지 생각해보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었다. 게임이론이 사실 전쟁때문에 등장했듯이 미소의 군비경쟁등 생각해보게 하는 장도 많았다. 특히 핵문제에 있어 생각하게 하는 것은 이미 선수를 빼았긴 한국의 역할 축소라는 점이다. 북한이 국제적으로 약소국임에도 강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은 자신만의 목소리를 먼저 한다는 것이다. 우리 맘에 들지 않는 방식이지만 말이다. 그리고 우리는 강경하게 그들을 물리쳐야 한다는 말만 되풀이 한다. 그러다보면 미중의 타협으로 또 한 국면이 전환되는 사태가 거듭되고 있는 것이다. 

이책에서도 언급하고 있지만 갈등이 첨예한 상황에서는 제3의 세력이 중재를 하게 된다. 그런 상황에서 결국 이미 자신이 목표한 것을 얻고자 실행한 세력이 이익을 얻게 되는 것이다. 항상 되풀이 되는 이 과정을 보면서도 우리 자신이 무엇을 잘 못하고 있는지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우리가 원하는 타협점이 뭔지를 생각하고 그 타협점을 이루기 위해 가져가야 할 전략이 무엇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내부 정치와 외부 외교전략은 분명 다르다는 것이다. 내부의 강성분위기를 통해 외교정책을 이끈다면 외교전략은 한계에 다다를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갈 길이 멀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