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란 무엇인가 - 예일대 17년 연속 최고의 명강의 삶을 위한 인문학 시리즈 1
셸리 케이건 지음, 박세연 옮김 / 엘도라도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예일대 17년 연속 최고의 명강의 셀리 케이건의 [죽음이란 무엇인가]

 

 

이성과 논리로 풀어낸 죽음과 삶의 의미를 생각해보는 그의 강의를 정리한 이 책은 인간은 반드시 죽는다는 것을 전제하기에 각자의 삶을 어떻게 살 것인가가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죽음에 관해 논의한다는 것은 그 자체로도 유쾌한 일은 아닐 것이다. 사실 죽음이란 모든 것의 종착점이라 생각되기에 더 논의할만한 가치가 없는 듯이 보이기도 한다. 먼저 죽음과 관련한 주요한 주제들을 섭렵하면서 얘기하고자 하는 본질적인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먼저 죽음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이원론과 물리주의자들의 입장에 대해 생각해본다. 그는 누구의 주장이 맞는가라는 결정을 유보한채 각자의 주장을 가정해놓은 다음 각각의 주장에 따른 확증이 있는가라는 물음으로 진행을 해간다. 이원론에서 말하는 인간은 육체와 영혼의 조합이라는 가정을 통해 영혼 그 자체가 인간임을 말하려 하고 있다. 그들에게 육체는 하나의 부분에 불과하다고 보여진다. 그리고 물리주의자들은 정신은 육체인 인간이 사회적 삶이 가능하게하는 도구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들은 죽음이 기능의 종말이다라는 입장이 가지고 있다.

두가지 주제를 일단 놔두고 영혼의 문제, 자아성의 문제, 죽음이 무엇인가, 죽음의 의미성, 영원한 삶, 삶의 가치, 죽음의 무거움, 죽음을 향해 간다는 것, 자살은? 이라는 주제를 말하고 있다. 그는 이런 다양한 논의를 매우 논리적인 증명으로 접근한다. 그는 우리가 보이지는 않지만 그 사실에 대해 입증할 수 있는 것은 어떤 사실의 확증이 그 사실을 있게 하는 존재의 증명이다라는 논증으로 풀어내고 있다. 특히 재미있는 것은 시간의 영속성에서 이 문제를 풀어나가는 그의 논증은 우리가 작은 시간에서 가지는 문제들이 얼마나 작은 문제인지를 간접적으로 느끼게 한다.

그가 영원한 삶의 문제를 논의할 때 행복지수가 120점인 시간을 50년 사는 사람과 행복지수가 100점인 사람이 100년을 사는 것, 행복지수가 5점인 사람이 영원토록 사는 것, 이중의 어느 것이 행복한 삶일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은 전체의 논증을 떠나 다시 나에게로 질문이 던지지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의 논증스타일은 이렇다. 그의 연역법적 논증은 매우 어려운 죽음이라는 문제를 깊이 빠지게 하는 매력이 있는 것이다. 

전체의 주제는 자신의 삶이 의미가 있는 이유는 우리가 죽음을 앞두고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죽음을 앞두고 의미있는 자신의 삶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에 이르지만 사실 그 결론을 강요하지는 않는다. 그가 마지막으로 결론에 말하는 것은 자신의 삶에 대해 끊임없는 질문을 통해 의미를 쟁취하려는 노력을 하고 두려움과 환상에서 벗어나 죽음을 대면하라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결론은 스스로 자신의 삶이 의미있다는 것을 찾으라는 말인 것이다.

그는 사실 이원론을 입증할 논증이 없다는 측면에서 부정한다. 그러나 모든 논의에서 배제하지는 않는다. 만약 이원론을 논리적으로 확증할 수 있는 새로운 사실이 나온다면 받아들일 수 있다는 원칙을 보여준다. 그는 인간의 삶이 유한하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것은 무기력한 받아들임이 아니다.

그가 자살논증에서 자살을 가장 적절한 때에 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라는 것을 말한다. 사실 자살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죽어야 될 때라는 생각에서 자살을 하지만 자살을 통해 자신이 새로운 기회를 얻을 기회가 사라진다는 측면에서 잘못된 선택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많은 지도자들이 위기의 상황에서 터닝포인트를 기록하여 다시 설 수 있었다는 얘기를 통해 확증을 할 수 있다. 결국 그는 자신의 죽음에 대해 스스로 물어보기도 하고 다른 많은 사람들에게 물어보라고 말하고 있다. 단 한번뿐인 삶을 이대로 끝내도 좋다는 판단이 섰는가를 물어보라는 것이다. 이러한 질문은 결국 삶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볼 수 있으며 자신의 짧은 인생에 의미를 부여해야 하는 이유를 만들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의 죽음에 관한 논의는 사실 삶의 예찬론이다. 이원론에서 생각하는 새로운 삶이 필요해서가 아니라 우주의 역사에 비한다면 너무나 짧은 우리의 인생이기에 의미를 다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한겨레> 장봉군 그림

 

 

사실 책을 읽으면서 조금은 어려울 수도 있다는 생각을 했다. 하나하나의 주제로 들어가면 생각할 것이 너무나 많은 책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는 방법은 먼저 전체를 개략적으로 쭉 읽어나가는 것이다.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더라도 그렇게 읽다보면 마치 하나의 에세이를 읽는 듯한 느낌으로 다가 올 것이다. 처음 이 책을 읽으면서 철학고전을 읽는 듯한 느낌이었으나 전체의 느낌은 에세이라는 생각이 드는 정말 독특한 책이다.

그런 다음 각자의 주제에 대해 숙고한다면 정말 재미있는 철학적 주제를 쉬우면서도 알차게 채울 수 있는 책이다. 사실 본인도 신학을 전공했지만 철학적 주제에 대해서 생각을 많이 해보게 된다. 사실 종교의 입장에서는 이원론의 강조와 영생의 삶을 강조함으로서 자신의 조직을 유지할 명분을 만들기 쉽겠지만 우리가 생각해봐야 할 것은 진정한 종교의 삶이 무엇일까 하는 점이다.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던 옴진리교나 영생교의 사건이 과연 기존 종교의 이원론과 완전 다른 것인지를 생각해보면 사실 별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 아마도 이런 취약성들이 종교인들이 자살을 선택하는 원인일 수 있겠다는 생각도 해본다. 우리의 짧은 인생을 통해 부끄럽지 않고 최선을 다하는 삶을 선택해볼 수 있는자기성찰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생각해보며 많은 종교인들도 꼭 읽어봐야할 책이라는 생각이다. 

오늘도 하늘을 우러보아 부끄럼 없는 삶을 살고 있는 지 생각해보게 하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