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꿈이로다 화연일세 세트 - 전3권
곽의진 지음 / 북치는마을 / 2012년 8월
평점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1023/pimg_795879188795196.jpg)
조선 최고의 지성 다산, 추사, 초의, 그리고 소치가 빚어내는 예술과 사랑이야기 [꿈이로다 화연일세]를 읽고
스승 추사가 압록강 남쪽에 그를 따를 자가 없다고 말한 소치 허련, 그가 자신의 인생을 몽연(夢緣)이라고 표현한 것은 예술을 위해 모든 것을 불살랐던 그의 철저함에서 나온 것이리라!
![](http://postfiles16.naver.net/20121023_255/gsgreen_1350991087747PmU5C_JPEG/2.jpg?type=w2)
요즘 나의 관심을 잡아두고 있는 다산을 비롯한 조선 후기의 명절을 만나볼 수 있는 너무 멋진 책이라 아마도 두고 두고 읽어볼 것이라는 생가이 들게 한 책이다. 저자가 문화일보에 기고하면서 2년 간의 연재를 통해 다듬어진 이책은 원고지 6,000매의 책이다. 사실 처음 권당 400쪽의 세밀한 활자로 잘 편집된 세권의 두꺼움이 나를 긴장하게 하였다. 소설은 금방 읽는 편이라서 겁없이 시작했던 독서의 시작은 책을 읽으면서 더 긴장을 하게 되었다. 그것은 쉬운 문체이지만 화자의 감정과 순간 순간 스쳐가는 역사의 소용돌이와 그 속에 드러나는 인간의 감정들이 다양한 느낌을 양산하면서 쉽게 진도를 나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산이 들어가 있다는 이유로 읽기 시작한 이 책은 사실 추사와 초이의 이야기가 큰 주제를 담당하는 인물이기에 조금은 아쉬운 면은 있었다. 하지만 추사가 명문대가의 자식으로 태어나 훌륭한 교육적 환경에서 자란 후 대과에 나가 성공가도를 달리다가 모함에 의해 유배를 떠나면서 점차 사람의 문제를 접근하는 반면, 소치는 진도의 촌놈으로 태어나(물론 임해군의 안사람인 허씨 문중의 유배양반이라는 것은 언급을 하지만) 초의라는 훌륭한 스승을 만나게 된 연으로 인해 추사에게 사사를 받게 되고 이후 왕 앞에까지 나가서 그림을 그리게 되는, 다소 드라마틱하게 묘사를 해가는 장면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으면서도 예술의 혼 앞에서 합일되는 정신의 세계를 그리고 있다는 점이 너무 재미있는 책이었다.
인간의 정신을 밝히겠다는 선조들의 지혜가 결국 합일의 정신을 이끌어낼 수 있었지만 우리는 아쉽게도 18세기에 이르러 좋은 스승들을 마지막으로 그런 학풍의 대를 끊기는 아픔을 겪게 되었다. 물론 이 책에서 계급성의 문제를 얘기하지는 않지만 양반이었던 추사와 평민이었던 소치가 예술의 문제로 어우러지면서 진정한 대가를 발견해가는 모습은 이책을 읽는 또 하나의 재미이다. 격이 없이 대가들과 함께 어울리던 초의를 통해 추사의 제자가 되면서 자신의 숨어있는 재능을 완성하는 과정은 한 사람의 대가가 만들어지기까지의 역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그들의 모습이 지금 우리에게 더욱 크게 다가오는 것은 예술의 경지에 올랐음에도 교만하지 않고 상대방의 모습을 인정하면서 함께 어우러지는 모습이다.
![](http://postfiles7.naver.net/20121023_198/gsgreen_13509911557097XN8P_JPEG/%C3%CA%BF%C1%BB%EA%BC%F6%B5%B5%281%29.jpg?type=w2)
지금의 시대에 작은 재주를 가지고 자신이 최고라며 상대방을 인정하지 못하는 모습은 소치가 자신이 죽음을 맞이하면서도 자신의 스승인 초의와 추사의 모습을 보면서 반성해야 할 문제이다. 진정한 대가는 함께 자신의 예술혼을 승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책에서 소치와 함께 사랑의 열정을 불살랐던 여인 은분의 이야기는 다소 담백할 수 있는 책의 느낌을 맛깔스럽게 만들어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 다소 시간에 쫓겨 읽은 감이 있어 여유를 가지고 다시 들쳐봐야 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서평을 정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