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튜이션 - 40년간 연구한 인지과학 보고서
게리 클라인 지음, 이유진 옮김, 장영재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사람들이 어떻게 상황을 가늠하고 판단하는지를 살피는 인지과학 보고서 [인튜이션]



40년간의 연구성과를 집대성한 인지과학에 대한 좋은 책이다. 이 책을 통해 다양하고 변화가 심한 이 사회에서 직관의 힘을 발견하고 훈련하는 법을 저자는 제시한다.


종종 직관의 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때 우리는 그것을 초능력이라 불렀다. 그러나 그것은 다양한 경험 축적에서 나온 대응방식이다.

멘탈시물레이션의 힘을 통해 나타나는 이 힘은 문제의 맥락을 파악함으로서 문제해결과 방법의 구상, 계획, 실행, 수정을 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모순된 증거를 통해 자기합리화를 시도하는 사람들은 실수로 이르게 된다. 돌출변수가 나오거나 복잡할 수록 오류발생가능성은 커지게 되므로 상황과 연계되는 의사결정은 항상 중요하다. 잘못된 데이타를 자신의 기준으로 해석하는 것이 치명적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멘탈시물레이션은 의사결정에 합리적 선택을 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인식-촉발모델로 설명할 수 있는데 상황진단-기대치생성-행동방침평가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여기에서 우리는 레버리지 포인트를 포착해야 한다. 큰효과를 만드는 작은 효과들이 레버리지 포인트(다른 책에서는 티핑포인트라 부르는 것)인데 이것을 찾아내는 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대부분 에로지점을 통해 나타나는 간극이나 기회에서 파악된다. 

문제는 순차적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인공지능이 대안이 될 수 없는 이유는 여러가지 옵션을 설정해두고 좋은 옵션을 선택하는 것이 인공지능인데 이러한 대처는 가변성대처를 불가능하게 한다. 

직관의 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힘이다. 전문가들은 패턴(일의 흐름)을 인식함으로서 변칙과 큰 그림을 통한 목표설정, 자신의 한계와 결합한 미세한 대처가 가능하다. 

직관의 힘에서 스토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발상과 개념, 사물, 관계들의 세계가 구조화된 것이 스토리이며 이것을 통해 전체의 내용을 파악하고 그 차별성을 통해 문제를 발견하는 것이다.

상황을 이해할 때 비유와 유추의 능력이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이 가능한 데이타가 부족할 때 주관적인 추정을 해야하며 이러할 때 유추가 필요한데 사용데이타는 측정이 가능한 데이타를 통해 실증적인 추정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실행요청 위에 숨겨진 가정을 읽으려는 노력을 통해 뚜렷한 목적을 파악함으로서 좋은 결과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직관의 힘이 잘 발휘되는 것이 팀마인드이다. 작동기억, 장기기억, 제한된 주의력, 여과, 학습이라는 측면에서 개인보다 팀이 훨씬더 유용하며 이러한 팀마인드를 잘하기 위해서는 경험을 공유하고 지속적이며, 유대감과 내부 승진과 네트워크화가 되어 있어야 한다.

합리적 분석이 중요하지만 자칫 절차에만 신경을 써서 초합리성에 빠지는 우를 범해서는 않된다. 분석의 의미와 실행, 평가가 항상 중요한 것이다.

능력자가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 이유는 확증편향때문이다. 징후를 자기인식사고로 해명할 수 있는 능력이 잘못된 오류를 만드는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스트레스나 불확실성, 진부한 전문지식이 이러한 가능성을 높인다.

지식기반의 의사접근법이라는 자연주의의사결정방법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며 주로 전문가들은 이전의 경험과 비교하여 하나의 행동방침을 생각하는데 비해 초보자들은 여러 방식의 비교를 통해 혼란만 가중하게 된다. 상황이 변화했을 때도 즉각적으로 상황에 맞는 대응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직관의 힘을 잘 사용하기 위해 우리는 비교가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것이 필요하며 모든 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전형성을 인식하는 훈련이 필요한 것이다.




항상 외국의 저서를 읽을 때마다 생각하게 되는 것은 탄탄한 데이타를 통해 실증적인 해석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저자가 40년간의 연구업적을 정리했다는 말과 같이 다양하면서 많은 데이타를 가지고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이다. 

사실 너무 많은 부분을 한번에 소화하려는 나의 욕심이 더 크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래도 항상 저작을 읽고 정리하려는 욕심 때문에 정리는 했지만 쉽지는 않은 책이었다는 생각을 해본다.

개인적으로 직관력이 매우 뛰어나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그것이 나의 다양한 삶의 경험에서 나오게 되었다는 점을 세삼스레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좋은 경험을 잘 살릴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는것을 알게 되었고 저자의 의견처럼 모든 사실을 정형화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단초 위에 많은 시스템을 접근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저자의 겸손함이 돋보이는 서문의 이야기는 학문을 접근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한 지적처럼 들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