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는 총구에서 나오지 않는다 - 인류는 전쟁 없는 세상을 꿈꿀 권리가 있다
아르노 그륀 지음, 조봉애 옮김 / 창해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전쟁없는 세상을 꿈꾸기 위한 인류의 선언 [평화는 총구에서 나오지 않는다]



평화를 불안하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외면의 모습에 치중하는 기성세대의 이미지정치가 평화의 모습보다는 인간의 정신을 통제하려는 것 때문이다. 인간의 평화를 위한 고민의 모습을 청소년에게 전하고자 하는 책이다.


평화의 갈림길은 어린 시절 갈라지게 된다. 많은 교육학자들은 어린 시절부터 나눔의 교육을 한 어린 아이들이 공감의 능력을 가지게 되고 그러한 공감의 능력이 성장을 한 이후에도 함께 함을 실천하는 것을 말하고 있다. 우리가 아는 많은 위인들의 모습을 보면 어린 시절부터 공감의 능력을 배워왔다는 것은 전혀 이상한 것이 아닌 것이다.

아울러 부모의 폭력때문에 사랑을 받지 못하고 성장한 사람들이 범죄자의 그늘에 서거나 지도자로 성장해서도 폭력적인 지도자가 되었다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그것은 왜일까? 어린 시절 사랑을 못 받은 사람들은 내면의 고통을 해소할 방법을 찾지못하게 된다. 

이런 아이들이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두가지이다. 한가지는 자기자신을 파괴하는 자학성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며, 또 한가지는 제3의 대상에게 폭력을 해소하는 방법이다. 자학을 보이는 어린아이들의 경우 부모들의 강압적인 교육에서 유래가 된 모습이나, 폭력적인 부모의 자식들이 폭력아동이 되는 것이 바로 이러한 원인때문이다. 

어린 시절 형성된 이러한 공감기능의 결핍이 비록 정상적인 모습으로 성장해서 성년이 되어도 이 모습 자체는 없어지지 않는다. 결국 이러한 내면의 모습은 권력에 집착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히틀러의 예에서 보듯 불우한 어린 시절과 열등감이 성년이 되어서 과대망상을 가지게 되고 새로운 사회를 위해 남을 지배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바뀌게 되면서 시대의 불안함과 더불어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커다란 위험을 만들게 된 것이다.


이러한 모습을 회복할 방법은 무엇인가?

곰강의 능력을 회복하는 것 밖에는 없다. 우리는 사회의 안정성을 생각하면서 항상 이중적 잣대를 가질 때가 많다. 자신이 하는 행동은 올바른 사회를 위한 공감의 끈이지만 남이 하는 행동은 사회를 어둡게 만드는 지배의 채찍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두가지 행위는 구분하기 힘들다. 

두 행위의 차이점은 그 행동에 공감의 목표가 있느냐 없느냐이다. 그러한 부분을 찾아내는 행위는 매우 어려운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개방과 공유의 정신이다. 개방이 안된 정치행위는 지배자에게 항상 유혹을 가져다 주기 때문이다.

이책에서 강조하는 것처럼 먼저 해야 할 일은 정치적 행위에 대한 성찰이다. 정치적 행동이 외적 성공에 집착하여 함께 함이 아닌 남을 지배하려는 욕심에서 나온 것은 아닌가 하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야 하는 것이다. 타인의 고통을 그대로 느껴보며 자신이 선택받은 자라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하는 것이다. 히틀러의 모습이나 석유를 위해 이라크를 침략한 부시의 결정이 무엇이 다른지를 생각해봐야 하는 것이다.

지금 세계는 테러리즘과 정치적 폭력이 평화를 위협하고 있다. 테러리즘의 출발은 부의 편증이 원인이다. 열악한 제3세계 사람들이 무시와 굴욕에 대한 자기 표현의 방식이 테러리즘인 것이다. 물론 이러한 테러리즘이 요즘은 진화하여 상위계층의 폭력이데올로기로도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 시초는 부의 불균형으로 인한 평화체제의 붕괴인 것이다. 




우리가 이책을 통해 생각해봐야 할 것은 평화가 저절로 만들어지지 않는 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폭력이 평화를 가져오는 것도 아니다. 

평화를 만들기 위한 방법은 단 하나의 방법밖에 없다. 스스로 평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다른 사람들의 입장에서 함께 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는 것이 그 시작인 것이다. 우리가 공감의 능력을 키워야 할 필요가 이러한 이유때문이다. 타인과의 공감교환을 위한 첫 걸음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가장 평화가 필요한 곳 중 하나인 한반도의 사는 우리들로서는 누구보다 평화의 중요성이 남다르게 다가온다.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위해서 강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말하는 정치가들이 많다. 그러나 강한 힘은 상대방에게 강한 대응을 생각하게 한다. 이러한 강한 힘의 대립은 언젠가 그 힘의 대결을 생각하게 된다. 이미 판문점 도끼사건은 이러한 힘의 대결이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우리에게 보여줬다.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강한 무력이 아닌 상대방에 대한 이해이다. 아직도 많은 분들이 북한이해의 일환을 빨갱이라는 표현으로 터부시하고 있다. 그러한 진정한 평화는 상대방의 이해없이는 불가능함을 알아야 한다. 북한을 이해하고 공감하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공감의 시작은 아주 작은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먼저 우리 역사에 대한 공동연구나 공동문화기획 등 정치색이 없고 이해관계가 가장 적은 것부터 시작하다보면 어느순간 우리가 생각할 수 없는 일들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어느 때보다 통일의 기운이 강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우리가 이런 좋은 기회를 상실한다면 우리 시대에 우리에게 주어진 사명을 다 못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민족적 사명으로 주어진 평화정착을 위해서 한걸음 나아가는 우리 세대가 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하게 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