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님전 시공 청소년 문학 50
박상률 지음 / 시공사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개팔자가 상팔자여! 개에 대한 새로운 상념 "개님전"을 읽고



개놈이 아니라 개님이여! 사람이 개처럼 불려지고 개는 상전처럼 불리는 이 세상에 생각해보는 개에 대한 새로운 해학. 저자는 이책에서 우리하고 가까웠던 개의 정서를 통해 일그러진 사회의 자화상을 보려고 하는지도 모르겠다.


인간이 가장 먼저 가축화했고 인간과 동거생활을 가장 오래 했던 개는 친숙한 동물의 상징인 동시에 우리의 일상에 들어와 있는 동물이다. 

그러나 우리가 가지는 개에 대한 인상은 매우 저급한 것이다. 개같은 놈이라고 말하면 가장 상대하기 싫은 사람을 지칭하는 말인 동시에 개같이 번다는 말에서 개같이라는 말은 가장 천시받을 만한 일이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사실 개의 인간사랑은 매우 지극함에도 불구하고 우리 인간들은 개를 마치 인간을 위한 부속물로 인식하고 있다. 토사구팽이나 자신의 부하를 개와 같은 자가 되라고 말하는 것은 개의 사랑에 대한 인간의 도리치고는 너무 무정한 것이 아닐까?

얼마전 진돗개의 유전자를 분석하면서 인간의 유전자와 닮았다는 분석이 나온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사실 동물의 거대 성체를 다루면서 작은 단위인 유전자의 동일성은 얼마든지 논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인간과 개의 동거의 세월이 길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그러한 세월을 통해 닮았다는 추측도 해볼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종과는 달리 진돗개가 매우 영민하며 특히 인간의 유전자를 더 많이 닮았다는 측면은 매우 특이한 요소임에는 분명한 사실이다. 아마도 이러한 점이 진돗개의 영민함을 만들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아무튼 저자의 고향이 진도인 탓에 유달리 개에 대한 생각은 더 많은 것 같다. 그래서 이책의 제목도 개님전이 되었겠지하는 생각을 해본다. 진도는 매우 특이한 섬이다. 장례식을 하는 상황하며 유달리 여성문화가 강한 측면하며 특히 한 특성의 개가 보전되었다는 측면이나 진도 나름의 문화를 보전하고 있다는 측면은 매우 중요한 보전가치가 있는 섬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섬들도 독특한 폐쇄성으로 인해 가치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섬은 매우 다른 삶의 준거를 가지고 있다. 한때 폐고를 보러 다니면서 섬의 폐교를 보러 갔다가 손님이 없다고 한시간 일찍 떠난 배 때문에 섬에 갖혀 하루를 보낸 적이 있다. 그때 느낀 것이 섬의 패쇄성이 이런 것이구나 하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하여튼 이런 특이성 때문에 보전된 진돗개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말해주고 있다. 삽살개나 풍산개 등 우리에게 좋은 종자가 있음에도 진돗개가 가장 잘 구현되어 보전된 것은 아마도 이런 지리적인 특성도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이책에서는 우리의 어린 시절 보여주었던 개의 모습, 우리의 똥을 먹고 쥐를 잡고 했던 지금 생각하면 비위가 상하겠지만 어린 시절 너무 자연스럽게 보아왔던 모습을 통해 친근함을 표현하려 하고 있다. 

사실 요즘의 개팔자는 정말 상팔자다. 애완견호텔의 하루 숙박료가 5-6만원이라는 얘기를 듣고 사람보다 낫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미용하며 작은 동물에게 들이는 노력이 심히 과하다는 표현이 맞는 말이겠다. 이러한 개에 대한 애정이 과연 정상적인가하는 의구심에 대해 이책은 다른 말로 지적하고 있는 지도 모르겠다. 

개는 인간의 동반자이지 인간의 업보는 아닌 것이다. 사람에 대해서는 개같은 놈이라고 동물취급을 하면서 개에 대해서는 사람보다 더 한 대우를 해주는 것에 대해 정작 개들은 무슨 생각을 할까? 아마도 정말 개같은 세상이다라고 속으로 웃고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을 해본다. 

개에 대한 존중과 더불어 인간에 대한 존중도 중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주는 책이었다 생각한다. 소설도 아니고 판소리도 아닌 묘한 책에 대해 너무 많은 얘기를 붙이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