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혼하고 싶은 여자 1
임선영 지음 / 골든북미디어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임선영작가의 결혼의 굴레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책 "이혼하고 싶은 여자 1, 2"를 읽고
결혼이란 삶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다. 종갓집 외동딸로 태어나 술도가의 대표로서 자라야 했던 지종선, 그녀는 그러한 태생으로 인해 가문을 이끌어야 했으며 원치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결혼을 해야만 했던 상황, 그러한 결혼의 운명에 맞서는 한 여인의 처절한 운명과 자신과 맞서 끝까지 자신을 반대하며 가문을 위기로 몰아넣는 외삼촌과의 갈등을 통해 한 여인에게 결혼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생각을 하게한다.
먼저 원치 않는 결혼을 선택한 지정선의 삶의 표상이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원하는 결혼 이후의 삶의 모습인가라는 생각이다. 결혼에 대해 후회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고 말한다. 이 소설의 이야기처럼 굴곡의 삶을 살지는 않더라도 처음 결혼의 환상이 깨지기 까지는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는 것이다. 결혼의 삶을 통해 새로운 삶을 꿈꿔보지 않은 사람은 없었을 것이다. 아마 이러한 후회의 삶을 작가는 말하고 싶지 않았나 생각한다.
그러나 새로운 삶의 선택이 찾아왔음에도 친구의 배신으로 인해 다시금 좌절을 겪는 모습은 우리가 갖는 새로운 선택이 얼마나 의미가 있는지를 다시 생각해보게 한다. 이 대목에서 "새로운 삶을 선택하려거든 자신의 처지를 개선하려 하지말고 그 사람을 정말로 사랑한다고 생각되었을 때 하라"는 말이 떠오른다. 이 시기를 벗어나려는 생각이 아니라 새롭게 찾아 온 기회에 내가 정말 최선을 다할 수 있는 자세가 되었을 때 하라는 이야기일 것이다.
자신이 원하는 삶은 결국 자신이 선택한 것이다. 인간이 사는 세상이 남과 함께 하는 삶이기에 관계라는 부분이 중요하지만 결국 중요한 건 자신의 문제이다. 자신이 삶에서 주체적이 되어야 좌절이나 실패를 하더라도 후회없는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원치않는 결혼은 결국 원치않는 삶의 모습으로 다가오게 되는 것이다.
사회의 관습과 결혼의 굴레가 여자의 삶을 불행하게 하는 것인가? 이미 우리는 많은 여권신장을 이루어 냈음에도 아직 이런 얘기를 만들어 내는 것은 이것이 여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공동의 문제이기 때문일 것이다.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가 만들어가야 하는 모습은 결국 사회구조의 문제도 중요하지만 사회인식의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우리보다 못 사는 나라의 행복감이 우리보다 더 크다는 사실은 이러한 사실을 잘 말해주고 있다. 행복에 대한 사회의 인식이 개인적이고 자본적이지 않는다면 우리는 더 큰 행복감을 사회공동체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때로는 답답함을 느끼기도 했고, 아쉬움을 가지기도 했다.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남편 재현에게 당하는 모습은 마치 막장드라마를 보는 듯한 느낌도 있었다. 그러기에 독자들은 공분을 느꼈으리라. 하지만 너무 긴 전개에 살짝 지루함도 느끼긴 했다. 결론이 애매하지만 이 시대 결혼의 상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려는 저자의 생각에는 동의를 한다. 정말 원하는 결혼의 모습은 자신이 원하는 결혼을 선택했을 때 가능하다. 그리고 그러한 선택에 최선을 다할 때 가능하다. 우리는 그러한 선택을 할 자유를 가지고 있으며 그 자유의 모습에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