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조종자들 - 당신의 의사결정을 설계하는 위험한 집단
엘리 프레이저 지음, 이현숙.이정태 옮김 / 알키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생각 조종자들은 근래의 읽은 책 중에서 가장 수준이 높은 책이었다. 책의 내용을 한마디로 압축하면 인터넷의 가장 큰 혁명인 검색이라는 수단이 가져온 장점 - 원하는 정보를 가장 편리하고 쉽게 전달받을 수 있는 것 - 이 오히려 사람들의 정보 편식을 가져오게되고 그러한 편식을 이용한 자본의 논리가 정보편향화를 가져오는 심각한 위험에 대해 경고하는 것이다.


먼저 저자는 페이스북의 창업자 저크버그가 문 앞에 죽어 있는 쥐 한마리가 아프리카의 죽어가는 사람보다 당신에게 더 관련깊다라고 말한 부분을 가르키면서 진짜 중요한 부분을 이미 놓치고 있다 말하고 있다. 검색이라는 훌륭한 도구는 만든 인간이 그 도구에 의해 자신이 보고자 하는 방향만을 본다는 것을 꼬집은 것이다. 사실 이 부분은 요즘의 소셜웹을 들여다보면 극심하게 보여진다. 진보 쪽의 사람들은 진보쪽에서 나온 정보만 보려고 하고, 또 말하는 상대도 진보쪽 사람들과만 얘기하려 한다. 물론 보수쪽 사람도 같은 결과를 만들고 있다. 업체가 굳이 시스템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이미 사람들이 한 방향으로만 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저자는 이러한 시스템이 그러한 경향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비판하다. 현재 매일 90만개의 블로그가 만들어지고 5,000만개가 트윗되어지고 600만개의 페이스북글, 2100억개의 메일이 생성되어지는 상황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진 상황이다. 2003년까지 인간이 만들어 놓은 정보의 양이 50억 Gb지만 이러한 양이 지금은 이틀만에 만들어진 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자신에게 맞는 정보를 선택해주는 필터링 서비스가 만들어졌지만 그러한 필터링 서비스가 오히려 정보편향을 앞장서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검색을 처음 시작한 회사가 아마존이며, 아마존의 상품검색시스템을 정보검색시스템으로 만들어 성장한 회사가 구글이다. 그리고 이제 그러한 기반 위에서 페이스북 등의 서비스가 양산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서비스가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나에게 맞는 정보를 셋팅하고 나에게 보내주고 있지만 사람들은 자신에게 보여지는 서비스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도 모른 채 사회에서 만나는 일반인보다 더 친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사용자로 인해 만들어진 콘덴츠로 인해 엄청난 성장을 하고 있는 업체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얼마든지 이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이러한 시스템이 가지는 위험성이다. 

저자는 이러한 맞춤형 서비스를 개별화필터라 부른다. 맞춤형시스템이 시스템의 논리에 의해 제공되어짐으로서 원래 얻고자 하는 내용과는 다르게 진행될 수 있지만 사용자들은 전혀 눈치챌 수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트래픽이 돈이 되는 상황을 만듦으로서 이러한 양상은 사실 더 심해졌으며 초기 인터넷사업자들이 꿈꾸왔던 민주주의의 성숙을 오히려 인터넷이 더 악순환을 만들 수 있다 경고하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문제는 이미 한국의 인터넷 상황에서도 보여주기 시작했다. 의도적인 트래픽 조작이 가져온 왜곡으로 인해 블로거들이 조사받은 바 있으며, 사실 독자도 몇몇 포털의 여론 조작이라는 부분이 보여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세계를 거부할 것인가? 그것은 정답이 아닐 것이다. 구글이 자신이 싫다면 다른 검색업체를 옮길 수 있다는 말로 그러한 위험을 벗어날 수 있다 말하지만 몇가지 부정적인 요소로 인해 서비스를 포기할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차라리 우리는 사용자로서 서비스를 고치라 말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기존 언론의 체계가 가졌던 함정 - 언론이 광고를 만들고, 그 광고는 여론을 만들고, 다시 그 여론은 정치를 만들고, 그 정치가 언론을 통제하는 방식 - 을 개선할 수 있으리라 믿었던 인터넷이 오히려 개별화의 필터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다시 새로운 방식으로 진화하려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아마도 구글의 표어인 사악해지지말자(Don't Be Devil.)는 표어는 이러한 위험을 이미 예견했던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저자는 다음의 대처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인터넷을 접하는 개인의 방식에 대한 것이다. 개별화의 문제가 가져올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해 다양한 세계를 경험해보는 것이다. 한 방향으로만 정보를 편취함으로서 스스로 편향되어 버리는 위기를 자초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사실 필자도 트윗의 성향을 중간에 설정하다보니 균형을 맞추는 것이 정말 어렵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소식을 받게되면서 판단에 대해서는 좀더 정확한 판단을 하게되는 근거는 만들었다 생각한다. 

결국 우리는 기술이 누구를 위해 일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정확한 판단을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개별화의 필터에 의해 소수의 사람에 의해 통제되는 세계에 살 것인가! 아니면 다양성을 인정하는 현실의 삶을 기반으로 하는 세계 속에 기술을 덧붙일 것인가는 나 자신에게 달렸다는 것이다. 저자는 그러한 사회를 모자이크 도시라 부른다. 이질적 도시와 빈민가도시의 중간지대를 형성하는 개념인 모자이크도시는 서로를 인정하는 독특하면서도 독립적이고 개방도니 문화에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모지이크사회를 만들어가려는 노력이 개인들에게 필요하며 이러한 접근이 시스템을 좀더 인간적인 시스템을 끌어들 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기업은 필터링 시스템의 설계에서부터 이러한 투명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옴부즈맨을 임명하고 스스로 투명성을 높이려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정부는 이러한 개인정보통제권이 사용자에게 있다는 것을 명심하여 정책을 입안하고 개인정보가 특별한 재산임을 항상 강조하는 캠페인을 벌여야 한다. 또한 개인정보 사용에 대한 법을 강화하고 이러한 통제가 잘 실천되고 있는 지 감시할 수 있는 기관을 운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반적인 내용이 요즘 생각하고 있는 주제이다 보니 시간이 많이 걸려 읽게되었다. 그러나 소셜웹의 사용 자체가 새로운 세계를 가져온 다고 믿는 환상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것은 소득일 것이다. 사실 소셜웹의 세계가 환상의 유토피아로 보이면서도 먼가 잘못 들면 빠져버리는 늪같은 느낌도 있었는데 그 실체를 그려 볼 수 있는 책이었다 생각한다. 다양한 인문정보의 습득이 결국 기계의 함정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되는게 맞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코 앞에 다가온 소셜웹의 세계를 사람들에게 좀더 정확한 안내를 할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많은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고 싶은 책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