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작은 집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이달의 책 상수리 그림책방 5
김선진 글.그림 / 상수리 / 201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더 넓은 집 더 좋은 집 더 크고 더 화려하고 무엇보다 더 비싼 집.

언젠가부터 사람들은 그런 집을 꿈꾸고 있다. 아이들도 누구네 집이 좋고 누구네 집에 무엇이 있고 
그런 이야기들을 자주 하곤 한다. 
이 책 속에는 혼자 살아가는 사람들이 아니라 세상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나온다.
하나의 집이 시간이 지나며 다른 사람들 다른 역할을 하며 변해가는 모습을 기록하고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 여행"하는 것을 꿈꾸던이의  자동차 정비소
동네 사람들을 찍은 사진을 모아 전시회를 열고 싶었던 이의 사진관
가족을 그리워 하던 할머니의 외로운 집
모자를 사랑했던 청년들의 모자가게
.... 
이야기는 사람들의 꿈과 소망을 담은 집들이 세월에 따라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또 그들의 꿈을 담아낸 모습을 담고 있다. 
작은집에서 꿈꾸던 사람들은 꿈을 이루었을까?
정비소 아저씨는 사랑하는 사람을 만났을까?
필름시대가 저문 사진관 아저씨는 아직도 사진가의 꿈을 꾸고 있을까?
외로운 할머니는 가족을 만나 다른 집으로 이사를 간 걸까?

꿈이나 희망보다는 갑질, 세입자라는 단어가 더 많이 떠오르는 세상.
모자를 사랑했던 청년들은 모자 100개를 만들던 날 마을에서 우리동네 패션쇼를 열었고
오랜 세월 비워있던 작은 집에는 한 아가씨가 찾아와 자신을 꿈을 담아 작은 찻집을 열었다. 


작은 집 이야기 (The Little House)
글/그림 버지니아 리 버튼, 옮긴이 홍연미, 시공주니어

작은집이야기는 도시화가 진행되는 세상속에서 설자리를 잃은 작은집이 데이지꽃 가득한 들판과 사과나무를 그리워 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작은집 주변의 세상은 빠르게 변화하고 사람들은 더 바빠지고 빌딩 숲과 도심의 불빛으로 숨이 막혀간다. 
이 작은집이 생명을 얻은 것은 사과나무가 있는 조그만 언덕으로 옮겨지고 나서부터다. 

김선진의 그림책 [나의 작은 집]은 이사가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과의 만남 속에서 생명을 얻는다.
한 사람의 꿈을 담아내던 공간이 많은 사람들과 함께 성장하고 꿈꾸는 모습으로 변화했다고 생각하면 
너무 많이 앞서나간 것일까?

따뜻한 그림체만큼 따뜻한 이야기가 담겨 있는 그림책을 만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를 봐요!
정진호 글.그림 / 현암주니어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학교 @@ 쌤이 보내준 책. 우리 학교는 교실 그림책 한 권이 모든 교실을 한 바퀴 돈다. 선생님들이 한 권을 읽어주고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 나누고 그 이야기와 느낌글을 한 줄 써서 다음 교실로... 오늘 보내준 책. 아이들과 함께 읽으며 많은 이야기 나눌 수 있었던 ... < 위를 봐요, 정진호, 은나팔> 옆 교실로 넘기고 내 소장용으로 한 권 주문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 아빠! 이건 뭘까요?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52
신현정 글.그림 / 길벗어린이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알 종알 이것저것 묻던 아이는 어느새 자라면서 더 이상 질문하는 것을 멈추게 된다. 사람들이 아이의 질문에 가치를 매기고 우선 순위를 매기면서 내가 던지는 질문이 정말 질문이 맞는지 의심하게 되면서 아이들은 더 이상 질문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그런 모든 아이들은 어릴 적 끊임없이 묻곤 했다. "아빠 이건 뭐에요?" "엄마 이건 뭐에요?"  아이의 질문에 대답을 해 주는 일이 어른들의 역할일 것이다. 

 펭귄 마을에 떠내려온 딸기 하나. 한 번 맛 본 딸기는 아이의 머리 속을 떠나지 못한다. 첫번째 경험. 세상 모든 것이 딸기로 보이고 그래서 아빠는 딸기를 찾아 먼 여행을 떠나게 된다. 

 마트마다 딸기가 한창인 시절. 흥미로운 책을 만났다. 꼬마 아이가 있다면 딸기 하나씩 입에 물고 함께 읽으면 좋겠다. 책을 다 읽고나면 어른들은 책 표지가 딸기였구나 ! 새삼  감탄할게다. 아이들이 금방 눈치채지 못하더라도 '책 표지가 뭘까? 딸기지!"하고 먼저 말해 주지 말자. 그냥 그림책 여러번 함께 읽으며 표지는 무심한 척 넘겨보자. 어느 순간 아이가 "아빠 이 책 표지가 딸기야!!"하고 감탄하는 선물을 빼앗지 말자. 

 그때까지 아이의 사소한 질문에 열심히 답해주면서 지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상한 엄마 그림책이 참 좋아 33
백희나 글.그림 / 책읽는곰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백희나 작가의 새로운 그림책이다. 

구름속에 가려진 선녀님 모습을 얼핏보니 전작인 '장수탕 선녀님'이 떠오른다. 우리네 생활 속에서 살짝 등장했다 사라지는 판타지 같은 인물들의 이야기. 엄마의 리얼한 뱃살에 당황하고 선녀님의 분칠 가득한 화장에 웃음을 머금게 된다.  누구에게도 도움 청하기 힘든 날 그럴 때 사용할 수 있는 엄마의 찬스카드 하나씩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들의 눈에는 유리창이 보이지 않아요! - 동물들이 살 수 있는 환경 만들기 처음 생각을 더하면 2
시그문드 브라우어 지음, 박선주 옮김, 이은지 그림, 한국조류보호협회 추천 / 책속물고기 / 2016년 3월
평점 :
품절


내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에는 교실에 새들이 가끔 날아들곤 한다. 

학교 건물이 산과 바로 인접하고 있어서 새들이 교실 창가를 통해 우연히 들어와서는 다시 나가지 못하고 복도며 교실을 날아다니다 아이들이나 선생님의 손에 잡혀 다시 산으로 돌아가곤 한다. 처음 새들을 만났을 때는 신기해서 아이들과 함께 관찰하고 다시 놓아주곤 했다.그러다 요즘에는 새집을 만들어 주기도 하고 겨울에는 버드피더를 매달아 주기도 한다. 그렇게 만나는 여러 새들의 모습이 흥미롭고 신기하기만 했다.

유리창에 가끔 부딪혀 퍼덕거리기는 해도 위험한 상황에 처한 새를 직접 본 적은 없어서 몰랐는데 이 책의 내용에 따르면 유리창에 부딪혀 바닥에 떨어진  새들을 고양이 등이 물어가곤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 주검이 사람들의 눈에 잘 띄지 않았을 거라고 ... 

 이렇게 새들이 유리창에 부딪혀 다치지 않도록 버드세이버를 만드는 활동을 중심으로 동물을 지키기 위해 아이들이 할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하고 있다. 사람과 동물이 함께 사는 세상. 왜 그래야 하는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함께 고민해보고 아이들과 실천할 수 있는 일들을 찾아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