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의 나라>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아사의 나라
유홍종 지음 / 문예출판사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지극히 주관적이게도, 나는 역사 소설을 좋아하지 않는다. 팩션이란 이름으로 새로운 장르로 급부상한 역사 소설은 어느 하나도 마음에 든 작품이 없었다(아직 만나지 못한 것일지도 모르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극찬을 아끼지 않은 대중적인 소설 <다빈치 코드>도 난 재미가 없었다). '역사'는 역사다운 면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주의라 한 사람의 개인적인 시선으로 없애고 붙이고 자른 이야기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다. 물론 '역사'라는 것 역시 기록한 사람의 주관이 포함되어 있긴 하지만, 그것은 '선택'과 '가치비중'의 몫일 뿐, '허구'는 아니다. 역사 소설은 '사실'을 바탕으로 한 '허구'이기 때문에 작가의 감정이 지나치게 많이 반영되어 읽는 내내 작가의 감정에 경도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 감정이란 한 명의 인물(대부분은 주인공)이나 특정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찬탄이다.    

 이렇게 서론을 길게 늘어놓는 이유는, <아사의 나라> 역시 내 취향을 바꾸어 놓지 못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역사 소설이라면 어느 책을 읽든지 간에 등장하는 전형적인 인물들이 산재해 있다. 주인공인 아사나 그녀의 딸 사비는 지적이고 지혜롭고, 아름다우며 강인한 여성으로 등장한다. 이야기의 중간에 아사에서 사비로 주인공이 바뀌지만 캐릭터에 전혀 이질감을 느끼지 못했다. 눈이 멀었고 앞날을 내다보는 예지력을 가졌다는 것 외에는 '사비'라는 딸은 아사와 완전히 똑같다. 아사가 사랑하는 설오유 장군은 남자답고, 총명하고, 다정다감하기도 한 남자주인공의 전형적인 인물이고, 아사를 짝사랑하는 대상인 진술래는 늠름한 남자에 해바라기같은 사랑을 보여주지만 설오유보다는 부족한 인물. 사극이든, 영화든, 책이든 어디에서나 소비되는 캐릭터들이다.  

 인물을 제외하면 역사 소설을 이끌어 가는 것은 이야기와 역사의 긴밀성, 있을 법하다는 개연성, 그리고 흡입력이라 볼 수 있다. <아사의 나라>는 개연성은 충분하다. 소설이 시작되는 전반, 끝나는 후반에서는 국사책을 읽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역사적 사실을 서술하는 데 지면을 할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백제 멸망기'라는 시대의 큰 흐름을 제외하면 인물들의 인생과는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되지 않았다. 하지만 어찌됐든 시대의 흐름, 나라의 운명에 의해 개인의 삶이 파괴되고 변화되어 간다는 큰 줄기는 이야기 전반에 뿌리내리고 있다. 내내 슬픈 <아사의 나라>를 읽으면서 허무함을 느낀 것은 내가 비관적인 사람이라서일까. 아침이라는 의미를 지닌 '아사'라는 이름도, '사비'라는 이름도 작가가 의도한대로 새로운 시작이 기다리는 '희망'이라 읽히기 보다는, 시대에 파묻혀버린 힘없는 개인들의 피지 못한 희망이라 읽혀서 아쉬운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