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바람난 여자
아니 프랑수아 지음, 이상해 옮김 / 솔출판사 / 2005년 3월
평점 :
절판


“나는 무엇으로부터 달아나기 위해 그렇게 열심히 책을 읽는 것일까?
나는 도대체 나 자신에게 뭘 감추는 것일까?
나는 어떤 공백을 메우는가?”

그녀에게 책이란 신경증 환자의 페티쉬에 가깝습니다. 그녀가 좋아하는 것은 독서이기도 하지만, 책 자체이기도 합니다.(물론 그녀의 직업이 편집자란 사실도 무관하진 않겠죠) 책에 대한 물신숭배라곤 전혀라고 해도 좋을 만큼 없는 저와는 달리 책장 모퉁이를 접거나 줄을 긋거나 커피잔 자국을 남기는 일 따위는 그녀의 교리에선 용납할 수 없는 금기사항이죠.

이 책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은 분명한 호오로 양분될 것이 분명합니다. 지지론자들은 그들의 사소한 독서 경험치에 비례에서 이 책에 환호를 보낼테고 (두꺼운 책을 지하철에서 들고 읽을 때의 손목통증, 갑자기 읽을 거리가 떨어졌을 때의 공황 상태, 처치곤란해질만큼 늘어난 책들의 공간배치에 대한 고민, “무슨 책을 읽고 있어?”라는 질문에 대한 거부반응 등에 대해 공감하며..) 비판자들은 그녀의 지나치리만큼 병적인 책에 대한 애정의 장광설에 현기증을 느낄테지요.

나 자신은 어느 쪽인가하면, 조금은 후자쪽입니다.

더 솔직히 얘기하자면, 공감보다는 은근히 질투가 나서 비꼬고 싶어요.  도대체 저렇게 책을 (게걸스럽게) 읽어대는 여자 하나로도 놀라운데, 만여권의 장서를 가진 남편에, 끊임없이 헌사를 곁들인 책을 선물하는 친구들에, 30여년간에 걸쳐 읽는데 실패한 ‘일생의’ 책이 친구들의 목소리로 녹음된 선물이 준비된 오십세의 생일파티까지 존재한다니 거의 환타지입니다. 음...부럽단 뜻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