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기와 1
차오원쉬엔 지음, 전수정 옮김 / 새움 / 200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몇 년전인가 <햇빛 쏟아지는 날들>이라는 중국영화를 본적이 있습니다. 문화혁명기를 배경으로 한 소년의 성장 영화였는데, 그 밝고 따스했던 느낌을 아직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영화는 기억에 관한 영화였는데, 우리가 기억하고 있는 추억이 어떻게 머릿 속에 저장되고 각색되어지는 지를 보여주었죠. 사람은 기억하고 싶은 것만 또는 기억하고 싶은 대로 기억하는 법이니까요.

 

친구가 분단위로 디테일하게 기억해내는 어느 수학시간의 일들은 도무지 떠올려 내지 못하면서도 어찌 된 일인지 바스까니의 까빌레리아 루스티카나 간주곡만 흐르면 어김없이 어른들은 모두 어딘가로 사라진 텅 빈 거리에서 좋아하는 소녀의 뒤를 밟는 소년의 까치발을 따라 이 곡이 흐르던 장면을 기억해내곤 합니다. 남의 기억도 나의 소중한 추억이 될 수 있는 건가 봅니다.

 

<빨간기와>를 읽는 내내 전 <햇빛 쏟아지는 날들>의 까까머리 소년들과 이쁜 발뒤꿈치를 가졌던 소녀와 문화혁명기의 이상하리만치 조용한 거리를 떠올렸습니다. 영화속 소년(이름은 까먹었음)이나 임빙과 같은 유년시절을 보낸 적이 없음에도 익숙한 정경과 따뜻한 느낌….같은 문화권에 속해 있어서 일까요? 중국 사회와 우리 사회가 공유하는 기억이 그만큼 많아서 일까요? 사람에겐 개인의 추억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 전체의 기억도 조금씩 서로 전송이 되어 개개인의 독립된 추억으로 쌓이는 모양입니다.

 

저조차도 그 알 수 없는 침묵에 쌓였던 햇살 쏟아지는 거리가 문화혁명기의 홍위병들이 쓸고 간 잔해였다는 걸 나중에야 알았듯이 이 소설속에서도 소년의 기억 속에서는 혁명은 그저 떠들썩하고 흥분되는 사건일 뿐이었습니다. 정양씨와 정황씨의 침대가 겪은 부조리한 상황을 이해하기엔 넘 어린 나이였겠죠.

 

소설의 마지막 장을 넘기자 소설의 모든 캐릭터들이 친근하게 내 기억의 한편을 차지한 거 같습니다. 빨리 ‘까만기와’도 주문해야 겠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