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 긋는 남자 - 양장본
카롤린 봉그랑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빌리거나 중고로 구입한 책을 읽다가 누군가 먼저 읽은 사람이 그어놓은 밑줄을 발견하는 기쁨은 아마 경험하지 못한 사람은 결코 알 수 없을 겁니다. 특히, 그 밑줄 친 구절이 딱 내맘에 와 닿을 때 전혀 알지못하는 누군가와의 소통이 주는 기쁨은 그 누군가를 마치 오랜 친구라도 되듯이 가까이 느끼게 만드는 겁니다.

그런데 이 밑줄이 오로지 나만을 위해서 그어진거라면? 인상적인 부분을 기억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내게 뭔가 말을 건내기 위한 수단이라면? 그는 남자이고 나를 사랑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쯤되면 로맨틱 코미디 소재로는 제격이군요. 당연히 여주인공은 그 미지의 남자와 사랑에 빠지고 그남자를 찾기 위한 독서를 계속합니다. 결국 콩스탕스는 유일한 독서의 대상이있던 에밀 아자리에서 벗어나 폴리냑(?), 토스도예프스키, 니미에(누구지?), 키에르케고르에 이르기까지 결코 녹록치않은 독서를 하게되는데, 이 과정에서 그녀는 소설속 세계에 기거하던 처녀에서 소설을 통한 창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여자로 변모하게 됩니다.

언뜻, 책을 매개로 한 연애소설쯤으로 보여지지만 소설을 읽는 행위란 무엇인지, 소설과 그 소설을 읽는 독자가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읽을 수 있습니다. 작가에게 소설쓰기란 독자에게 말을 건내는 일이고, 독자는 소설을 통해 누군가와 대화를 하는 것이겠죠.하지만 이런 속뜻이야 읽어내도 그만이고 아니어도 그만이고, 꽁스땅스의 밑줄긋는 남자 찾기 여정을 따라가는 일은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그러고보니 ‘책 읽어주는 여자’랑 구성이 좀 비슷하네요.

사족 : 번역말입니다. 수준급 이상의 공들인 번역임에는 분명하나, 지나치게 세심하게 선택한 흔적이 보이는 몇몇 ‘고상한(또는 고루한)’ 단어들 때문에 전 이책이 당나위 인형 레옹과 함께 자는 25세의 여성이 쓴 발랄한 문체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한참 후에나 깨달았습니다. 원작은 좀더 경쾌했을거라 짐작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