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이트는 요리사였다
제임스 힐만 외 지음, 김영진 외 옮김 / 황금가지 / 2001년 12월
평점 :
품절
오디프스 콤플렉스나 무의식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커피한잔에 함유된 카페인성분의 유해에 대해서 얘기하는 것처럼 현대인들에겐 가벼운 잡담거리로 더 이상 전문가의 영역이 아니라고 여겨지는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프로이트에 대한 진지한 이해를 한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요? 어쩌면 프로이트에 대한 이해는 한국의 평균 교양인들의 거품이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나 자신 역시 몇권의 정신분석학 입문서를 읽었을 뿐이면서 ‘프로이드식으로 말하면…’어쩌구 스노비하게 젠체했던 기억이 있습니다만. -_-;; 어쨌거나 그런 얄팍한 이해로 이 책의 재미를 느끼려고 한게 무리한 시도였던 것 같습니다. 막히는 곳 없이 술술 읽히긴 하는데, 국민교육헌장을 읽는 것처럼 도무지 재미가 없더란 말입니다.
프로이드 이론의 성욕을 식욕으로 살짝 바꾼 후에 다시 식욕을 구체적으로 발현한 요리들의 레시피를 제공한다는 자체는 얼마나 신선한 아이디어입니까? 게다가 프로이드 자신의 이름을 도용(?)하여 모든 욕망의 기원을 성적에서만 찾으려 집착한 프로이드이론의 한계에 정면으로 딴지를 걸다니, 정말 재밌는 발상이죠.(아마 이책의 저자들은 처음 이 아이디어를 떠올리곤 박수를 치며 즐거워 했을 겁니다).
게다가 이 발상은 독자들이 실제로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골자들이 얼마나 재미있게 패러디 되었는가를 눈치채지 못하고 넘어간다면 지루한 책이 되고 말 위험이 있으므로 저자들에겐 더욱 흥미로운 지적 유희였을 겁니다.
어쨌거나 제게 있어선 이책은 결국 이름을 알수없는 요리이름들과, 들어보지 못한 정신분석가들의 이름의 나열에 불과했으니, 작가들의 학구적 유머에 포복절도해줄만한 충실한 독자는 아니었던 셈입니다.
프로이드에 대한 공부를 더한 후에 다시 읽어보면 다른 평가가 나올지도 모르겠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양장본이므로 몇년후에 별을 한두개 늘릴수 있을 지도 모르는 일이므로 낮은 별점을 탓하진 말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