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리스인 조르바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의 마지막 장을 덮고나서 밀려오는 묵직한 감동을 추스려본지가 얼마만인지..감각적이고 가벼운 문장들이 들끊는 요즘..50년이 넘은 ‘제대로 된’ 소설을 읽은 감상이란 실로 감격적입니다.
각설하고.
그리스인이라.. 한국인이나 중국인, 일본인, 독일인 같은 단어가 풍기는 스테레오타입이야 쉽게 떠올릴 수 있지만, 그리스인이라니..그러고 보니 그리스에 대해 내가 아는 것은 고작 오래된 신들의 사랑얘기나 폐허가 된 신전, TV 커피광고에 나오는 하얀 회벽칠한 집으로 뒤덮인 산토리니섬의 정경따위같은 지극히 단편적인 지식뿐이어서 도대체 그리스인들이 어떤 기질의 사람들인지 감도 잡을 수 없더군요.
그래서 그리스인 조르바란 내겐 탄자니아인 조르바나 화성인 조르바만큼이나 이국적이고도 낯선 이미지로 다가왔고 진정한 그리스인 조르바를 만나게 되리란 기대를 갖고 이 책을 대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책은 그리스인 조르바가 아니라 자유인 조르바에 대한 책이더군요.(여전히 전 그리스에 대해선 무식한채로입니다^^)
세치 혀로 주어들은 진리에 대해 논하는 자야 셀수도 없이 많지만 삶을 통해 체득한 진리, 삶의 방식대로 자유롭게 평생을 살아가는 자가 몇이나 될까요? 심지어 죽음마저도 그의 방식대로 창가에 서서 맞이합니다. 물론 그의 방식에 다 긍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특히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본다면..) 적어도 그의 삶이 가진 진정성은 그 어떤 철학자의 그것보다 감동적입니다. 어쩌면 소심한 나로선 상상하기 조차 힘든 삶이어서 더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전 아직도 조르바가 실존인물이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습니다. 작가의 상상력에 의해 과장된 인물이겠죠? 그렇게 자유로운 영혼과 육체를 가진 인간이 존재했다니.. 조르바식으로 얘기하자면 영혼이 자유로와야 육체가 자유로와 지는게 아니라 육체가 자유로와야 영혼이 자유로와지는 거라죠? 그렇다면 시간과 돈과 관계, 도덕률의 노예인 저는 자유인이 될 가망성, 제로에 가깝군요-_-;;
사족을 붙이자면, 번역에 대한 칭찬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매번 이윤기님의 역서를 읽으며 느끼는 바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