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의미가 없다면 스윙은 없다 - 하루키가 말하는 '내가 사랑한 음악'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윤성원 옮김 / 문학사상사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저 같은 사람이 말로 음악을 표현하는 방법은 딱 두가지 뿐입니다. 좋다와 별로다. 다른 말로 아름다운 선율을 표현할 재주도 없거니와 아무리 멋진 수사를 사용한 들 눈꼽만큼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는 걸 알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와인에 대해 아는척 좀 해보려고 와인관련 글들을 읽을때의 막막함과 일맥상통하는 문제겠죠.
언젠가 위스키에 관해서 쓴 글에서도 느낀 바였지만 하루키는 청각이나 미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그걸 다시 글로 써내는 묘한 재주를 가지고 있습니다. 마음 속에서 떠돌던 무수한 언어가 온전한 형태를 갖추고 활자화된 걸 지켜보는 재미가 있어요.
2년 전 쯤 카운트베이시 오케스트라가 한국에 왔을때, 공연을 보러 갔는데 "뼈속까지 스며드는 스윙감"이란 하루키의 표현이 얼마나 징그럽게 적확한지 같이 보러간 후배와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습니다. 그 후론 카운트 베이시 음악은 하루키의 저 문구를 광고카피처럼 떠올리지 않고는 들을 수 없게 되었다는 부작용이 있긴 합니다.
하루키 문장들은 그래서 정확한 묘사의 문제가 아니라 독자와 작가간의 공명같은 것(요즘 제가 케로로를 즐겨보는 관계로 공명이란 단어를 많이 씁니다^^)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이를 테면 하루키와 공통주파수 대역을 가지지 못한 사람들에겐 고문일 수도 있는 그런 문장들이란 말이죠. (스탠 겟츠나 윈튼 마샬리스에 관해서는 열광적으로 동의하지만, 시더 월턴이나 스가시카오 대목에선 난해한 기분이 들거든요)
비교적 유명한 재즈뮤지션들을 다뤘던 재즈에세이와 달리 이번 책에서는 재즈에 국한시키지 않았고, 약간은 컬트적인 취향을 과시하고 있습니다만, 뮤지션을 선별한 기준은 스윙이 있는가라는 점입니다. 듀크 엘링턴옹께서는 저 유명한 곡에서 It don't mean a thing (If it ain't got that swing). 이라고 하셨는데 하루키는 그 역도 성립한다고 하는군요.
얼마전 개봉했던 스윙걸즈의 평론을 읽다가 뜨끔했던 부분이 갑자기 떠오르네요. <당신의 삶에 스윙이 있는가? 없다면 그건 아무 것도 아니다. 감히 말하건대. >
자, 다시한번 스윙,스윙,스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