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여자 (2disc) - 할인행사
장진 감독, 이나영 외 출연 / 아트서비스 / 2004년 9월
평점 :
품절


이나영이 출현한다기에 호감이 갔던 영화.
그 이나영이 귀여운 스토커로 나온다기에 더욱 기대가 되었던 영화.
(영화 속 ‘한이연’처럼 직접 행동에 옮기진 못했지만, 고백하건데 아주 어렸던 시절까지 포함한다면 비슷한 경험이 몇 번 있다.-.-;;)
그래서 여러 가지 마음의 위로와 공감이 되지는 않을까, 했던 영화.
이래저래 나의 기대치는 은근슬쩍 꽤나 상승해 있었나 보다.
그러나, 기대를 너무 했었기 때문인지 영화는 생각보다 꽤 실망스러웠다.(예고편은 억수로 잘 만들었더구만!!!-.-)

사실 장진의 전작인 ‘킬러들의 수다’를 보면서 많이도 곤혹스러 했었다.
삼류 코미디 영화 정도는 아니더라도, 영화 속 황당한 행동을 하는 캐릭터들이 “야, 웃어 봐. 웃어보라니깐!” 하고 권유(?)할 때는 떫은 표정만 짓고 있어야 했으니 말이다.

‘아는 여자’는 확실히 ‘킬러들의 수다’ 보다는 재미있고, 유쾌하게 웃을 수 있다.
그의 전작들에서 뭔가 타이밍이 안 맞고 억지스럽다고 느꼈던 부분들도 상대적으로 줄어들었고, 때론 정말 기발하고, 솔직하고, 허를 찌르는 유머에 감탄을 하기도 했다.
(그런데 야구에서 땅볼을 관중석으로 던지면 정말 그렇게 황당한 상황이 되는 거냐? 야구에 문외한 이라서리...;;; 야구에 대해 쫌 안다면 더욱 이 영화를 재미있게 볼 수 있을 것 같다.-.-a)

시나리오를 쓰고 이 영화를 감독한 사람이 남자이기 때문인지,
이 영화가 그의 전작들에 비해 여성 캐릭터가 비교적 잘 살아 있다는 평을 두루두루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나영이 연기한 영화 속 ‘한이연’이란 캐릭터는 정재영의 ‘동치성’에 비해 정교하지가 못하다.

영화의 첫 도입부 부분에서 ‘이연’이 ‘치성’이 있는 여관방에서 돌아 나올 때 눈에 눈물이 그렁그렁 맺힐 때는, 나도 모르게 순간 짠, 했었으나 그녀의 감정선은 그 후로 일관성 있게 유지 되지 못하고 중간 중간 툭툭 끊긴다.  로맨틱 코미디의 공식에 따라 억지로 진행되고는 있으나, 영화의 중반부 부터는 그녀가 정말 그를 사랑했던 것인지 잘 느낄 수가 없었다.
유쾌하고, 즐겁고, 이나영이 너무너무 예쁘게 나오는 영화이기는 하지만,
사람의 마음을 흔들 수 있는 어떤 ‘진심’이 느껴지지가 않았다.

이 영화는 ‘사랑’ 보다는 ‘코미디’에 좀더 중심을 두고 본다면 훨씬 즐겁게 즐길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dts] - 할인행사
소피아 코폴라 감독, 빌 머레이 외 출연 / CJ 엔터테인먼트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여행지에서 사람은 조금 이상해진다. 그곳이 자신이 원래 살던 곳과 많이 다를수록,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더욱 그렇다.
낯선 장소이기에 긴장을 놓을 수 없기 때문인지 자신의 의식이 환하게 열리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평상시라면 상처에 둔감해지기 위해 닫아두었던 문들이 무방비 상태로 빗장이 풀린다. 그래서 냉정했던 사람도 여행지에서는 조금 이상해진다.

작은 친절에 크게 감동하고, 별다른 의도 없이 던진 상대의 무심한 말 한 마디에 부르르 화를 내고, 꽁꽁 감춰두었던 자격지심이 실체를 드러내며, 예정되었던 헤어짐에 괜히 눈물을 흘린다.

그뿐인가. 그동안 느끼지 못했던 삶의 무게가 갑작스럽게 짓눌러와, 생각해, 생각해 봐. 이제 어쩔 거야? 어쩔 거니? 하고 내게 답을 요구한다.

그래서 여행할 땐 평소엔 게으름으로 쓰지 못했던 일기장만 붙들고 온갖 개똥철학과 푸념들만 늘어놓는다.(나만 그런가?-.,-)

여행을 하며 이런 상황을 경험해 본 사람이라면(‘관광’이 아니라 ‘여행’), 영화 속 샬롯과 밥의 심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감독은 아시아의 나라가 익숙하지 않은 두 주인공을 내세움으로서 그런 극단적인 감정의 고조와 고립감 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 성공한다. 더불어 우스꽝스러운 일본인들과의 이질감은 지루하고 잔잔하기만 한 영화에 귀여운(?) 유머도 제공한다.

낯선 나라에서 자신과 소통할 수 있는 상대를 만난 밥과 샬롯.
그러나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라는 영화제목과 달리, 그들이 나눈 감정의 실체가 ‘사랑’인지는 잘 모르겠다. 남녀간의 모든 감정의 소통을 단순히 성 호르몬의 자극으로 생겨나는 하나의 감정으로 일축해버리는 것은 너무 무식한 처사다.

마지막 장면에서,
밥은 샬롯에게 뭐라고 귓속말을 했을까.

LA에 가서 다시 만납시다?
걍 힘내서 살아라, 그런 남편 신경 끄고 글이나 열심히 써라?

한 가지는 분명하다.
그들의 소통은 도쿄의 그 도시 안에서만 가능하다는 것.
LA에서는 다시 낯선 감정의 타인이 되라라는 것.

뱀발.
자신과 다르다는 것이 꼭 그렇게 우스꽝스럽게 받아들여져야 했던 거야?
다른 나라에 왔으니 모든 생활방식과 언어가 다른 건 당연한 거잖아.
아니, 알겠어. 무슨 의도와 장치로 사용했던 것인지는.
근데 한 마디 안 하고 넘어가기에는 너무 껄끄러운 부분이 많더군.
특히 밥의 그 초밥에 대한 유머는 정말 짜증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