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운의 주드 -하
토마스 하디 / 영풍문고 / 1997년 10월
평점 :
절판


중학교 때던가... 테스를 처음 읽었을 때가... 아직 핑크빛 사랑에 대한 동경으로 충만했던 사춘기 소녀였던 내게, 토마스 하디의 테스를 읽는 것은 유쾌한 경험이 아니었다. 주인공, 테스의 삶을 이해할 수 없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여성'이라는 것이 어떤 숙명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남성'이란 '여성'의 적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어린 시절, 내가 받았던 테스의 충격 때문이었던가? 난 여전히 소설이나 영화, 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테스류의 여자들을 보면 연민이 들다가도 울화통이 터지고 바보같이 느껴진다. 그런 캐릭터는 날 짜증나게 한다.)

그렇게 테스에 대해 불쾌한 기억을 갖고 있다가, 한 친구가 빌려준 토마스 하디의 <비운의 주디>라는 책을 읽었다. 처음엔 사실.... 별다른 흥미는 없었으나, 막상 읽기 시작하다보니 난 밤에 잠자는 것도 잊고 읽어내려가고 있었다. 정말 오랜만에 재미있게 읽은 고전소설이었다. 어쩌면 내가 어렸던 그 시절에 이 책을 읽었다면 지금 내가 느끼는 이런 감정을 느끼지 못했을 수도 있다.

나이가 든다는 건, 때때로 좋은 점들도 있다. 삶과 문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준다. 어렸기에 내가 이해하지 못했던 다른 고전들도 지금 내가 다시 읽는다면 좀더 폭넓은 의미로 내게 다가올지도 모른다. <테스>가 여성이기에 겪을 수 밖에 없었던 비극적인 숙명을 표현했다면, <주드>는 이룰 수 없는 꿈을 향해 가던 이의 비극적인 종말을 그리고 있다. 읽으면서 내내 가슴이 아팠다.

영국소설에는 영국소설만의 특유의 분위기가 있다. 뭐랄까.... 퀴퀴한 곰팡내가 난다고나 할까. 브론테 자매의 소설들도, 마시고의 숲도, 제인 오스틴의 소설들도 그리고 토마스 하디의 이 <비운의 주드>도... 밝은 따뜻함보다는 뿌연 안개빛의 퀴퀴함이 있다. 그 퀴퀴한 냄새를 파고들다보면 오랜 세월 속에 묻혀둔 수많은 이야기들이 흘러나올 것만 같다. 좀 우스운 말이지만 그 퀴퀴함은 나로 하여금 낭만적인 감상에 젖게 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erky 2004-08-24 19: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비운의 주드' 너무 좋았어요. 번역도 깔끔해서 읽기 편했구요. 영풍문고에서 나온 토머스하디 책들 강추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