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dts] - 할인행사
소피아 코폴라 감독, 빌 머레이 외 출연 / CJ 엔터테인먼트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여행지에서 사람은 조금 이상해진다. 그곳이 자신이 원래 살던 곳과 많이 다를수록,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더욱 그렇다.
낯선 장소이기에 긴장을 놓을 수 없기 때문인지 자신의 의식이 환하게 열리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평상시라면 상처에 둔감해지기 위해 닫아두었던 문들이 무방비 상태로 빗장이 풀린다. 그래서 냉정했던 사람도 여행지에서는 조금 이상해진다.

작은 친절에 크게 감동하고, 별다른 의도 없이 던진 상대의 무심한 말 한 마디에 부르르 화를 내고, 꽁꽁 감춰두었던 자격지심이 실체를 드러내며, 예정되었던 헤어짐에 괜히 눈물을 흘린다.

그뿐인가. 그동안 느끼지 못했던 삶의 무게가 갑작스럽게 짓눌러와, 생각해, 생각해 봐. 이제 어쩔 거야? 어쩔 거니? 하고 내게 답을 요구한다.

그래서 여행할 땐 평소엔 게으름으로 쓰지 못했던 일기장만 붙들고 온갖 개똥철학과 푸념들만 늘어놓는다.(나만 그런가?-.,-)

여행을 하며 이런 상황을 경험해 본 사람이라면(‘관광’이 아니라 ‘여행’), 영화 속 샬롯과 밥의 심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감독은 아시아의 나라가 익숙하지 않은 두 주인공을 내세움으로서 그런 극단적인 감정의 고조와 고립감 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 성공한다. 더불어 우스꽝스러운 일본인들과의 이질감은 지루하고 잔잔하기만 한 영화에 귀여운(?) 유머도 제공한다.

낯선 나라에서 자신과 소통할 수 있는 상대를 만난 밥과 샬롯.
그러나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라는 영화제목과 달리, 그들이 나눈 감정의 실체가 ‘사랑’인지는 잘 모르겠다. 남녀간의 모든 감정의 소통을 단순히 성 호르몬의 자극으로 생겨나는 하나의 감정으로 일축해버리는 것은 너무 무식한 처사다.

마지막 장면에서,
밥은 샬롯에게 뭐라고 귓속말을 했을까.

LA에 가서 다시 만납시다?
걍 힘내서 살아라, 그런 남편 신경 끄고 글이나 열심히 써라?

한 가지는 분명하다.
그들의 소통은 도쿄의 그 도시 안에서만 가능하다는 것.
LA에서는 다시 낯선 감정의 타인이 되라라는 것.

뱀발.
자신과 다르다는 것이 꼭 그렇게 우스꽝스럽게 받아들여져야 했던 거야?
다른 나라에 왔으니 모든 생활방식과 언어가 다른 건 당연한 거잖아.
아니, 알겠어. 무슨 의도와 장치로 사용했던 것인지는.
근데 한 마디 안 하고 넘어가기에는 너무 껄끄러운 부분이 많더군.
특히 밥의 그 초밥에 대한 유머는 정말 짜증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