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 힘이 될 때 - 아나운서 최동석의 가장 인간적인 소통법
최동석 지음 / 클랩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다 빌려서 읽게 된 책. 저자가 아나운서 출신인지라 그런지 텍스트 한글자 한글자의 무게감이 느껴졌다. 단지, 빌려보길 잘했을뿐, 구매하긴 망설여진다. 기억나는 문장을 가져와 내 감상평을 몇자 끄적여볼란다.

[인용문]
(49쪽)
˝칭찬이든, 험담이든, 정제되지 않은 감정이든 내 입에서 나가 말이 되는 순간, 그 책임은 오롯이 나의 것이 된다. 내가 모르는 사이, 나도 모르는 곳에서 태풍처럼 커져 천재지변을 일으키지 않으려면, 내 말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먼저 고민한 후에 비로소 말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 결국, 내 입에서 나온 말이 어떤 말이냐에 따라 그대로 주고 받게 되어있단 뜻일듯싶다. 상대에게 힘을 주는 말을 내뱉으면, 상대도 나만큼은 아닐지라도 최소한 내게 힘이 될만한 말을 내뱉을것이다. 내가 어떤 말을 사용하느냐에 달려있는것이다.


(55쪽)
˝친밀한 사이에는 오히려 분명한 선이 있어야 한다. 그 선이라는 것은 감정적 거리감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에 있어서 일종의 인계철선과 같다. 최소한 그 선만큼은 닿지 않도록 인지하고 살피는 게 우선이지만, 혹여나 감정의 미사일로 상대의 인계철선을 툭툭 건드리면 언젠가 폭발하게 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가장 가까운 사이일수록 선은 분명하게 지켜져야 할 듯싶다. 가족에서부터 시작해서 친구사이까지, 흔히 가깝거나 친밀한 사이일 수록 선을 지켜야하는 이유는 우리 모두 사람이기 때문이다. 저마다 힘든 사정을 갖고 있기에, 그저 정도의 차이가 있을뿐 모든 것을 쏟아부을만큼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받아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각자의 한계점이 존재하기에 그 선을 넘으면 끝장나는거다.

(69쪽)
˝거절의 말을 전할 때는 다른 어떤 것도 아닌, 내 안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는 게 우선이다. 거절의 이유가 보다 명확해 지는 걸 느끼게 될 것이다. 내가 거절한다고 세상이 무너지거나 관계가 끝장나는 것도 아니다. 거절 한 번 했다고 끝날 사이라면, 애초에 그다지 공들일 사이도 아니었던 게 아닐까.˝

-> 가까운 사이에서 확실한 거절은 두려워 할 필요없다. 공적인 관계에선 쉽사리 거절을 잘 하지 않나? 근데 사적인 관계에선 왜그리 거절을 어렵게 생각하나? 시간을 질질끌고 말도 질질 끌수록 상대는 그런 그를 안 좋게 본다. 깔끔하게 싫다고 의사표시해도 충분하고, 그게 찝찝하면 이런 이유로 부탁을 들어줄 수 없지만, 다음에는 부탁할땐 같이 도와주겠다는 식으로 멘트를 날리면, 적어도 무시당한다고 생각하지 않고, 꽤 신경써주고 있구나하면서 고마워할테니깐.

[마무리:처칠의 유명 연설문]
“절대로 굴복하지 마라, 절대로 굴복하지 마라, 절대로, 절대로, 절대로! 엄청난 일이든 작은 일이든, 큰일이든 하찮은 일이든, 명예와 양심에 대한 확신 외에는 절대로 굴복하지 마라. 절대로 강압에 굴복하지 마라. 겉보기에 압도하는 적의 힘에 굴복하지 마라.” (“Never give in. Never give in. Never, Never, Never!”)
-> 나도 처칠의 저 연설문을 좋아한다. 보통 뜻은 절대로 포기하지 마라로 쓰이는데, 절대로 굴복하지 마라라는 뜻으로 쓰인다고한다. 난 이 번역이 더 좋다. 내 앞길에도, 내 꿈길에도 절대 절대 절대 굴복할 일이 없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말투 때문에 말투 덕분에 - 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사례로 가득한
이오타 다쓰나리 지음, 백운숙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절판


[책요약]
1.자신을 깎아내리는 것이 겸손은 아니다
- 상대와 대화할때 자신을 낮추는 건 공격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난 교회가서 그런 언니들 많이 느꼈는데!ㅎㅎ)

2.속마음을 적당히 내비쳐야 매력적으로 느낀다
- 겉과 속이 같거나 겉과 속이 한결같은 시람은 주변 인맥도 늘어나고 믿음직하다는 평판을 얻는다. 반면,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은 이성에게 좋은 매력을 어필할 순 있어도 좋은 인연이 다가가지 않게 만든다. 속을 알기 쉬운 사람에겐 자신의 속마음을 털어놓기 쉽다.

3.업무 지시가 전달되지 못한 것은 상대 탓이 아니다
<업무지시의 핵심은 명확하게 전달하기>
- 업무를 맡길 때는 맡길 부분과 직접 처리할 부분을 확실히 나누어 지시해야 한다. 또한 맡길 부분 중에서 구체적으로 요청할 부분과 온전히 맡길 부분도 명확히 나누면 업무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자책] 하루 1시간, 8주에 끝내는 책쓰기 - 예비 저자를 위한 출간 가이드북
최영원 지음 / 파지트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쓰기 초보자한텐 책을 쓰는 방법과 관련해서는 입문하기 좋으나, 본문에 좀큰 폰트사이즈의 인용표시가 너무 많아서 몰입이 잘 안됩니다. 가독성도 좋은 컨텐츠인건 맞는데, 드문드문 이해가 가서 읽은것 같지 않네요. 하여튼 저작권을 넘 의식하신건지 몰라도, 인용표시를 꼭 본문에 배치해야하나싶네요.
더 이상 책쓰기책은 구매말고, 이젠 실질적으로 책쓰기로 돌입해야겠어요.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 한비자 서울대 선정 만화 인문고전 50선 35
권오경 지음, 유대수 그림, 손영운 감수 / 주니어김영사 / 200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1. 한비자의 실제이름?
- 성은 한씨 고요, 이름은 비자예요. ㅋㅋ사실 그건 순뻥이지용ㅋㅋ 다들 중국식 이름이 <-자>로 끝나면 진짜 누구 이름 이영자씨 등으로 불리우는 아는데, 아니래요. <한비>로 불리우고 <-자>는 선생님,스승님 같은 뜻이래요. 수많은 공자, 노자, 장자 같으신분들도 번역하면 공선생, 노선생, 장선생 되시겠네요.

2.동양의 마키아벨라
- 흔히 마키아벨리의 군주론과 한비자 책과 유사점이 많다고 알려져있죠. 이미 기존에 서울대인문 시리즈 만화책으로도 나와있으니 찾아보세요. 단지, 차이점이 있다면 냉혈하면서 하드웨어적인 이미지가 마키아벨리쪽이 강해요. 그나마 한비자책은 소프트한 이미지 같아요.

3.인간은 천성 악한걸까, 이기적인걸까
- 한비자는 인간은 성악설, 태어날때부터 악하다고 봤지만 그것보단 이기적으로 태어났다고 믿었다네요. 마치 애덤 스미스의 푸줏간 에피소드가 생각날만큼 비슷하네요.

4.유가vs.법가
-유가는 일명 공자와 맹자파, 법가는 한비자 그외파!
- 유가와 법가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가는 옛날엔 이래서저래서 좋았다고 떠드는 착한 선비 놀음하고, 법가는 지금이 어느땐데 전쟁과 살육이 일어나는 시기에 여유롭게 과거엔 참 좋았다고 신선놀음 같은 소릴 할 때냐!
- 유가: 전쟁나도 총칼 안들고, 대화타협 OK?
/법가: 당장 총칼 들고 방어하든지 공격하든지 둘중하나야!

5.동물에 대한 관찰력
- 이 책에서 알려준건 동물에 대한 관찰력이었죠. 여태껏 잊고 있었죠. 개미가 있는 곳엔 물이 있으니 개미가 모이는 곳을 파면 물을 얻을 수 있고 벌꿀을 발견하고 벌꿀을 쫓아가면 벌꿀(!?)로 허기를 채울 수 있으니까요.

✅️덧: 재미가 쏠쏠하지만, 좀 따분할 수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이스 4 메이킹 스토리 & 대본집
마진원 지음 / 에이엠스토리(amStory)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기대한거랑 다름ㅠㅠ..대본집이 6화까지만 나와있어서 동방민 캐릭터 분석을 깊이 해볼 기회를 못 가지겠음.ㅠㅠ 허나 디테일한 사진, 작가진들과 배우들의 노고가 절실히 느껴지는 벽돌책임.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