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나마 난 애니 몬테크리스토 시리즈를 봤길래 망정이지 안 그랬으면 1권만 읽다 말겠다싶은 생각이 들었다. 난 대충 이야기의 윤곽을 아니까 뒤마 작가의 스토리전개를 뒤따라가는데 문제는 없었다. 이건 마지막으로 몬테크리스토가 남긴건데..˝기다려라...그리고...희망을 가져라˝역경속에 빠졌어도 빛나는 그날을 위해~♡
이름을 수없이 들어본 명작! 하지만 내 삶에 닿기까지 시간이 걸린 명작! 애니로도 만들어져서 애니부터 내용을 알게 됐다. 내 집엔 서양소설책들이 좀 있지만 좀처럼 읽히지 않아서 중도포기했지만, 이 책은 전혀 그럴수 없이 재미가 재미를 낳게 만들어서 이틀에 걸쳐 완독했다. 출판사측에서 그나마 폰트사이즈가 커서 더 빨리 읽게끔해주신듯. 분명 복수의 테마를 가졌지만 남주의 통쾌한 복수가 왜이리 연민으로 남은건지..에드몽 단테스는 평범하고 선량한 선원이지만 사랑에 눈먼 남자(내 사랑을 빼앗김), 야망에 눈먼 남자(내 희망을 빼앗김), 돈에 눈먼 남자(내 삶을 빼앗겨 증오로 남김)때문에 억울하게 14년동안 지하감옥에 갇혀 지내야만 했다. 사랑하는 여인을 빼앗기고, 아버지도 죽어버린 비참한 남자였다. 그러다 옥살이를 하던 신부가 탈옥을 감행하자 그 덕분에 탈옥도하며 부자도 됐다. 그뒤 몽테 크리스토 백작으로 비밀리에 활동하며 한명씩한명씩 복수를 단행했지만 그들의 비극적인 삶까지 지켜보니 과연 자기가 뭔데 감히 신대신 그들을 처벌하는가싶은 생각도 들었다. 애까지 죽이다니 참 너무하다싶었다. 그래서 복수한다고 나아지진 않는다고 했던가. 그리고 인상깊은건 예의바르고 절제된 백작의 말투가 참 맘에 들었다. 진짜 귀족이 내뱉을 말같아서 본받고싶다.<주인공들 짧게 소개>●배주인-모렐(에드몽을 도와주고 몽테가 도와줌)●당글라르-전 회계/현 은행가●페르낭/모르세르-메르세데스의 남편/장군●카드루스-양복점사장,주막집사장,도둑질(회개했을것 같은 인물이었는데, 배신때림)●빌포르-검사/정치계인물/귀족●알베르-메르세데스 아들●발랑틴-빌포르 첫번째처의 딸/막시밀리앙 모렐(그녀의 결혼상대자) 장군백작이 둘다 은혜를 베풂)˝딱 한가지 조건을 내세웠지요. 저를 비롯해서 저와 알고 지내는 사람에게는 절대로 손을 대서는 안 된다는 조건이 바로 그것입니다. 저는 박애주의자나 인도주의자가 아닙니다. 내 동포나 내 사회에 대한 애정은 없습니다. 오로지 내 주변의 사람들만 아낄 뿐입니다.˝(228쪽)흠..백작의 mbti는 ENTJ일듯ㅋㅋ(후속편에 이어)
왕이 되고싶어? 이 책 추천해!서울대고전 시리즈 참 쉽고 재밌네. 군주론 원작은 읽어본적 있어도 이해가 안됐는데 이탈리아의 역사 사정까지 아니 왜 마키아벨리가 그렇게까지 군주에 대해 맹자의 성선설과 반대되는 내용을 강하게 주장했는지 알것 같다. 나또한 이탈리아에서 벌어졌던 수많은 전쟁사를 통해 정치란 무엇인가에 대한 생각까지 깨닫게됏다. 어쩌면 이탈리아인들은 도시 국가형태가 많아서 결속력이 약했을 수도 있단 생각이 든다. 그시절엔 그들은 자연상태에 놓여진 열정적인 사람들이라 굳이 대단한 정치가 필요가 없었으니까 주변국들에게 희생양이 되어온 게 아닌가싶다. 미리 방어를 준비하는 사람들보단 그저 현재를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이라 오랫동안 혼돈사를 겪은게 아닐까싶다. 그래서 마키아밸리는 국민들이 더 고생해야 구세주가 나타날거라 믿었을련지 모르겠다. 국민들이 더 고생해야 뛰어난 군주이자 왕이 그들을 구원할거라 믿었으니까. 내가 보기엔 현실적 정치를 배우기에 이만한 교과서는 없을거야. 더불어 <한비자>에 관한 책도 마키아밸리랑 비슷한 성향이라 읽어봐야겠다.::
원작은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이 만화책으로 읽으니 이해가 한결 쉬워져서 좋았다. 이 시리즈의 다른 고전 책들도 읽어보고싶다. 그리고 덧붙여 나또한 공감가는 바가 많았다. 모어는 너무 시대를 앞서가서 억울하게 사형당한 법조인이었다. 왕이 자기 두번째 아내를 받아들이라고 모어에게 강요안했으면 좋았텐데, 어차피 그 두번째 아내또한 그 왕이 죽였으면서 모어가 더 불쌍하다. 모어는 타락한 왕권주의자들과 동화되기 싫어서 그저 모른척했을뿐이다. 그 죄가 사형이라니, 참 억울한 일이다. 난 아직도 이 세상에 없는 세계를 꿈꾼다. 그리고 그걸 내 손으로 만들고야말겠다는 염원을 가지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