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lociraptor 님의 서재 이미지를 퍼왔습니다.

충돌하고 있는 두 은하의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태우스 2004-04-12 15: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게 충돌하면 어떻게 되는데요? 궁금.

가을산 2004-04-12 16: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쎄 어떻게 될까요?
* 두 은하의 물질이 서로의 중력에 끌려 원래의 궤도를 이탈한다 -->그림에도 나타나듯이 일반적인 원반형 은하의 모습이 아닌 일그러진 모양의 은하가 되겠지요.
* 성간물질의 균등했던 분포가 깨져서 성간물질이 응축된 곳에서는 새로운 별들이 생겨날 것 같습니다.
* 항성계의 레벨이서 본다면, 외부로부터의 성간물질과 이탈된 궤도의 소행성 등의 유입에 의해 기존에 있던 항성과 행성에 부딪히는 별똥별이 많아지겠네요. 작은 별똥별이면 표면에 크레이터만 늘리겠지만, 큰 운석이라면 그 행성의 궤도나 형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겠지요?
* 만약 생명체가 있는 행성이 있다면, 행성의 궤도 변화 혹은 행성 내의 환경 변화도 심각하겠지요? -- 그러나 생명체의 수명에 비해 은하의 충돌이 워낙 장시간에 걸쳐 일어나는거니까 그런 영향을 '이상하다'고 느끼지 않을 수도 있겠네요.
완전 소설을 씁니다.... ^^

무흔 2004-04-13 1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읽은 책(오레오 쿠키를 먹는 사람들? 정확히 기억이 안남)에서 보면 실제로 은하가 충돌을 하여도 그 안에 있는 별들에게는 거의 영향이 없답니다. 사실 공간이 별들보다 워낙 크기 때문에 몇몇 아주 중력이 큰 별들이나 충돌하는 정도 이겠지요. 또한 시간적으로 아주 느리게(인간의 시간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생태계 걱정은 할 필요가 없을 듯 합니다. 단지 은하의 모양은 불규칙 은하로 변하겠지요. 엔트로피가 증가할 테니깐요. 우리 은하만 하더라도 중심부(은하수)에서는 지금도 엄청난 일들이 일어나고 있지만 우리가 느끼지는 않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가을산 2004-04-13 15: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쿠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