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쪽에서 보자면 불안, 우울 같은 감정은 치료의 대상이다. 정신장애를 진단하려면 개인이 처한 환경, 유전 정보, 가치관 등을 살펴야 한다. 하지만 감정이 치료의 대상이 될 때 증상의 완화가 가장 중요하다. 잠을 자지 못하고, 사람들을 만나는게 두렵고, 밖에 나갈 수 없게 된다면 무엇보다 그 괴로움을 당장 없애줄 처방을 원하게 된다.

그런데 진화심리쪽으로 보면 그런 감정은 위험을 감지하고 피하고자 하는 자연스러운 반응이라는 거다.

인간은 누구나 괴로운 감정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괴로운 감정에도 다 이유가 있다. 그런 감정들은 좋지 못한 상황을 변경시키거나 피하거나 벗어나려는 노력을 유도한다. -139쪽

그러니까 안 좋은 기분(bad feeling)도 삶에 도움이 되는 감정이다. 안 좋으니까 더 조심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고, 더 안전해지는 것이다. 뭐가 되었건 '인류는 그런 식으로 진화되었어'라고 하면 끝인가 싶다.

읽다가 계속 읽을까 그만 읽을까 고민했다. 뭔가 더 있을까 하여 끝까지 읽었는데 결론은 이런 것이다.

안 좋은 기분도 삶에 도움이 되는 감정이고, 정신건강에 관한 진단을 할때 현재의 문제만 살필게 아니라 그 사람의 환경, 유전적 정보, 가치관 등등 그 사람의 역사를 알고 적절한 처방을 해야한다는 이야기다.

즉 말하자면 환자의 병이 아니라 환자를 보라는 이야기이다. 굳이 책을 읽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검나 당연한 이야기다. 제목에 낚인 느낌.

 

감정에는 의미가 있다. 우리는 감정의 메시지를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감정은 보통 우리가 어떤 일을 하도록 만들거나 어떤 일을 멈추도록 유도한다. 우리가 감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은 감정이 지혜로울 때가 있기 때문이다. - P142

플라톤은 쾌락을 추구하다 보면 불행해진다고 경고했고, 싯다르타는 욕망을 영원히 채울 수 없다고 가르쳤다. 모든 종교는 향락의 쳇바퀴에서 빠져나오고 마음의 부담을 내려놓으라고 충고한다. 그러나 그런 충고는 다이어트에 관한 충고와 비슷하다. 옳고, 좋은 의도를 가지고 있고, 아주 많고, 진화적 이유도 충분하지만 실제로 따르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 P246

사람들은 자신이 처하는 상황을 스스로 만들고, 그 상황이 또다시 그 사람에게 영향을 끼친다. 대개 그런 상황들은 저절로 고착된다. - P303

특히 환자가 자신을 괴롭히는 상황들을 본인이 만들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 시작할 때 치료의 성공확률은 높아진다. 사람들은 때때로 근본적으로 변화한다. - P3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