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록 문학동네 한국고전문학전집 3
혜경궁 홍씨 지음, 정병설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의 역사가 시대의 역사가 되다 - 한중록

 
한중록은 환갑을 넘어선 혜경궁 홍씨의 남편 사도세자의 죽음과 자신의 집안에 대한 회고의 글 그러니까 일종의 회고록이라 볼 수 있다.
남아있는 역사라는 것이 왕을 중심으로 된 역사이다보니 [한중록]은 개인적 사견과 자신을 위한 변이 들어가 있지만 이것또한 우리가 알아야 하는 중요한 역사의 한 부분이라 생각된다.

 
한중록을 처음 읽었다. 원본과 함께 비교해 가면서 읽었다. 재미가 솔솔했다. ^^
어쩌면 주석이 붙어있는 원본이 가지는 묘미... 그리고 뭔가를 찾아서 읽는 보람... 뭐 그런 재미가 있었다고 해야할까!

 
문학동네에서 나온 한국고전문학전집은 원본이 있어 잘 알지는 못하지만 배우면서 읽는 재미와 찾아가며 읽는 재미가 있다. ^^ 전작으로 읽었던 [조선후기 성소화 선집] 원본이 한문투성이라 옥편을 찾아가며 봤던 것에 비하면 훈민정음을 소리내 읽는 ㅋㅋㅋ 솔직히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몰라 인터넷을 뒤져가며 보는 재미가 있었다.

 
우리는 드라마를 통해서 조선시대 이야기를 많이 접하는 편이다. 최근에 했던 [동이]도 그랬고 퓨전 사극을 표방했던 [성균관 스캔들]도 다 조선시대 바로 한중록에 나온 역사가 기초가 된 드라마이다. 

 
남편이 시아버지 즉 자신의 아버지에게 죽임을 당하는 억울하고 억울한 상황을 경험했던 혜경궁. 열살에 궁중에 들어가 남편인 사도세자를 잃고, 개혁적인 정조의 어머니로 다양한 이해관계과 복잡한 역사가, 그 한의 역사가 한중록이라는 책에 고스란히 전해졌다. 

 
총 3부로 이루어진 한중록은 1부는 남편인 사도세자의 이야기, 2부는 혜경궁 자신의 이야기, 3부는 친정을 위한 변명이란 제목의 노론인 친정의 편에 설 수 밖에 없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지극히 개인적인 한 사람의 이야기이지만 그 내용은 파란만장한 그 시대의 상황을 정리하고 있으며, 임금중심의 역사만이 남아있는 오늘에 또다른 역사를 볼 수 있게 하는 책이기도 하다. 

 
[한중록] 묘미는 중간 중간 이해를 돕기위한 [한중록 깊이 읽기]라는 해설이다.
역사책에 나오는 이야기외에는 역사공부를 좀처럼 하지 않은 나로선 책읽기에 무한한 도움이 되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