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건국신화 - 세상의 탄생
김용만 지음, 송진희 그림 / 청솔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건국신화’라고 하면 흔히들 단군신화를 떠올린다. 아동용으로 출간된 책도 대부분이 고조선을 건국한 단군 신화를 소개하고 있다. 건국신화 관련 책이 드물게 출간되지만, 독자들의 관심 밖에 방치되고 있다. 이런 현상은 바로 신화에 대한 무관심 때문이다. 더군다나 건국신화는 특정 인물의 특출한 재능을 부각시켜 그 인물을 영웅으로 미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현실의 독자들에겐 자신과는 무관한 이야기로 느껴질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건국신화를 어떻게 해석할지, 건국신화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지’ 와 같은 건국신화가 갖는 의미에 대해 말해주는 책이 필요하다.

 건국신화를 소재로 한 책으로 ‘새 하늘을 연 영웅들(정하섭 글, 이억배 그림, 창비 펴냄)’이 있다. 이 책은 단군신화, 해모수, 동명왕과 유리왕 이야기를 들려준다.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풀어쓴 글과 이억배 선생님의 삽화가 돋보이는 책으로, 신화를 막 접하는 아이들에겐 신화에 대한 관심을 끌어낼 수 있는 책이다. 그러나 신화 이야기를 어느 정도 아는 아이들의 시선은 끌지 못한다. 그런 아이들은 신화에 대한 보충 설명이 필요하다. 이야기로만 끝나버리면 황당무계한 느낌만 주고, 신화에 대한 거부감만 키울 것이다. 이런 아이들에게 바로  ‘우리나라의 건국신화(김용만 글, 송진희 그림, 청솔 펴냄)’가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책은 다른 책들에 비해 많은 건국신화를 소개하고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신화 책은 대중에게 잘 알려진 신화만 뽑아서 소개를 하거나, 아니면 우리나라 신화 모음집에 건국신화가 수록 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나라 건국신화를 한 눈에 살펴보기엔 이 책이 적합하다.

 신화 관련 책들 중 상당수가 단순히 이야기를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별도의 보충 설명 란을 두어 신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이 책도 그런 구성에서는 비슷하지만, 부연 설명이 담고 있는 내용은 다른 책들과 구별된다. 일단 각각의 건국신화가 가진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고 있고, 우리나라 건국신화를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시아지역 신화들과 비교하여 우리나라 것의 의미와 신화 자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다. 그리고 신화 관련 유물이나 유적을 소개하여 독자로 하여금 신화가 단순히 허황된 이야기라는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 책의 저자가 역사 전공자라는 점이 이런 다양한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준다.

 신화를 읽고  단순히 우리나라 건국신화를 아는 것에서 끝나서는 안 된다. 신화가 어떤 상징성을 가지고 있고, 그것이 우리 조상들의 어떤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지 아는 것까지가 신화 읽기의 마무리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이 책은 신화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다. 몇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몇 곳에서 오타가 발견되는 점, 삽화가 이야기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 그리고 삽화에 성의가 부족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부분들을 보완하면 좀 더 완전한 신화 해설서가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