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아저씨 손 아저씨 우리 그림책 1
권정생 지음, 김용철 그림 / 국민서관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표지에 등장하는 두 사람의 모습이 위태로워 보인다.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이 다른 사람을 등에 업고 징검다리를 건너고 있다. 구불구불한 곡선으로 처리된 그림이 이들의 모습을 흐느적흐느적 흔들리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제 몸 하나로도 건너기 쉽지 않은 이 길을, 둘이 한 몸이 되어 걷게 된 연유가 무엇일까? 표지 그림 하나에 궁금증이 발동한다.

 사람을 등에 업고 징검다리를 건너는 손 아저씨. 손 아저씨 등에 업혀 길을 안내하는 길 아저씨. 손 아저씨는 앞을 볼 수 없는 부족함을 가졌고, 길 아저씨는 걸을 수 없는 부족함을 가졌다. 부족함을 가진 두 사람, 동시에 서로의 부족함을 채워가며 살아가는 두 사람이 이 책의 주인공이다.

 길 아저씨와 손 아저씨는 태어날 때부터 육체적 결함을 갖고 있었지만, 다 자랄 때까지 부모님의 보살핌이 있었기에 상황이 절박하지는 않았다. 세월이 흘러 길 아저씨네 부모님도 손 아저씨네 부모님도 모두 세상을 떠나 버렸다. 이제는 손 아저씨의 눈이 되어줄 사람이 없고, 길 아저씨의 다리가 되어줄 사람이 없다. 혼자서는 어찌 해 볼 도리가 없는 상황, 얼마나 막막할까? 하지만 길 아저씨 손 아저씨는 자신을 포기하지 않았다. 길 아저씨는 손 아저씨의 눈이 되어주고, 손 아저씨는 길 아저씨의 다리가 되어 준 것이다. 길 아저씨 손 아저씨 모두 부족함을 가졌지만 서로의 부족함을 채워줌으로써 더 이상 다른 사람들의 동정이나 도움을 구걸하지 않고, 스스로의 힘으로 자신들의 인생을 만들어가게 된다.

  길 아저씨와 손 아저씨를 통해 이 책이 전하고자 하는 교훈은 우리는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며 도와가며 살아야 하고, 자신의 인생은 바로 스스로의 힘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는 것이다. 훈훈한 정이 느껴지면서도, 새로운 다짐을 재촉하는 힘이 느껴지는 글이다.

 흐물흐물한 선으로 표현된 그림이 정감 있으면서도 해학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옛이야기의 재미를 한층 돋우고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진행에 따라 직사각형 테두리 안에 갇혀 있던 그림이 화면 전체로 확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상을 향해 닫혀 있던 주인공들의 마음이 차츰 차츰 열리고 있음을 표현하는 건 아닐까...... 앞 표지 안쪽에 있는 닫혀 진 문이 마지막에 가서는 세상을 향해 활짝 열린 것도 주인공들의 열린 마음을 나타내기 위함이 아닐까 한다. 그림에 숨겨진 이야기를 나름대로 추측해 볼 수 있는 재미가 있고, 옛이야기이기에 옛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다는 점 또한 이 책의 그림에서 얻을 수 있는 소소한 재미가 아닐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