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일 평전 - 개정판
조영래 지음 / 돌베개 / 2001년 9월
평점 :
절판


평소에 자선전이나 위인전 분류의 책을 잘 읽지 않는 편이다. 한쪽으로 너무 치우치거나 감정적으로 내용을 채워나가는 경우가 많아, 썩 마음에 내키지 않아서였다. 하지만 한 노동 관련 사이트에서 아래의 글을 발견한 나는, 부끄러움과 함께 전태일에 대한 관심을 그날 내내 떨쳐버릴 수 없었다.

"1970년 11월 13일 이제 한창의 나이인 스물두 살의 젊은 노동자 전태일은 근로기준법이 담긴 법전을 가슴에 안고 석유를 뒤집어 쓴 자신의 몸에 불을 붙이고 달려가며 외쳤습니다"

그 동안 영화를 통해서만 알고 있었던 전태일을 책으로 찾아보니, 의외로 <전태일 평전>이라는 책이 유명하고,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는 데서 놀라웠었다.

초반부에 전개되는 그의 어린 시절의 이야기는 정말 가슴을 뭉클하게 할 정도로 그의 처참한 가난을 들려주고있다. 이런 감정 느꺼보지 않은지 오래 되어서 그런지, 처음엔 어떻게 감정이 조절되지 않아 중간 중간 더 이상 읽지 못하고 책을 잠시 덥어 두기까지 하였다. 중반부터는 본격적으로 전태일의 철학과 사상, 그의 주요 노동운동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평가하고 있다. 그는 정말 대단한 인물이다. 몇년간의 초등교육만 받았고 그시대 남들보다 절대 좋지 못한 환경 속에서 자랐지만, 한자로 가득한 어려운 법전을 읽어가며 의지를 잃지 않고 노동 현실을 바꾸어볼려는 그의 용기는 너무나 대단하다. 단단해져가는 자신의 의지와 행동이 언제나 벽에 부딕치면서, 그는 이 현실이 죽기보다 더 싫었던 것이었을까. 죽음을 택하면서까지 역사를 바꾸어볼려는 것에 대해 여러 역사가들의 평가는 다양하겠지만, 분신자살을 택했던 그 마음은 어느정도 이해가 되기도 한다.

이 책을 다 읽고 영화를 다시 구해서 보았는데, 영화는 전태일의 10분의 1도 담지 못한 것 같았다. 전태일에 대해 알고 싶지만 영화만으로 만족하고 있었다면, 꼭 이 책을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다.

아직도 우리 사회엔 기본적은 근로기준법조차 지켜지지 않은 사업장이 너무나 많아 보인다. 전태일이 말해주듯 법이 아무리 잘 되어 있어도, 그에 대한 의지가 없이는 법은 몇장의 종이에 불과할 뿐이다. 요즘 주5일제다 하며 말듯 많지만, 건강과 여가를 잃어가며 힘든 노동으로 하루 하루를 체워가는 우리 주위의 사람들부터 챙겨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

자신의 이름을 숨겨가면서까지 전태일을 세상을 알리고 싶었던 저자 조영래와 이 책 출판에 관련된 모든 이들에게도 감사함을 전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