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7
조지 오웰 지음, 정회성 옮김 / 민음사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84>은 개인의 자유와 인권은 철저하게 무시되고, 모든 일상사가 당국에 의해 감시당하는 너무나도 암울한 세상을 그리고 있다. 글속에 등장하는 텔레스크린(감시카메라)이라는 기계는 이런 사회에 무서운 존재로 나타난다. 잠에서 깨어나자마다 모든 사람들이 텔레스크린 앞에서 똑같이 체조를 하게 하고, 집, 직장, 길거리 어디서든 그 앞에서 자연스럽게 행동하고 말해야 한다. 아무도 그 기기를 끌수도 없고 피할수도 없다. 오히려 일부려 피할려고 든다면 어딘가에서 사상경찰이 그걸 지켜보고 당신을 사상범으로 의심 할 지도 모른다. 개인적인 생각과 글은 존재할 수 없으며, 심지어 잠자다가 블쑥 나온 잠꼬대로 사상경찰에가 잡혀가지 않을까 걱정한다. 영국 사회주의의 당원인 주인공 윈스턴은 이 숨이 맞혀오는 세상에서 조금이나마 일탈을 꿈꾼다. 하지만 윈스턴은 생각만 할 뿐 아무런 행동을 하지 못한다. 어떻게 해야될지도 모르고, 단지 그 생각이 언제가 사상경찰에게 들켜 사형당하고 말꺼라는 두려움만 떨며 하루하루를 이어가고 있다. 누가 사상경찰인지도 모르면서도 말이다.

작가는 오직 윈스턴의 눈과 입을 통해 이야기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독자 자신도 그 세상에 대해 윈스턴보다 더 잘 알수 없다. 조지오웰은 독자 스스로 그 느낌을 확실히 느껴보기를 원했던 것이었을까?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이런 세상이 있을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계속 들게하였다. 하지만 책의 마지막 장을 넘기는 순간 더 이상 그런 의문을 들지 않았다. 이 책속에서 나오는 감시에 사용되는 과학기술보다 지금의 과학기술이 더 우수하면 우수하지 떨어지지 않고, 변화하는 우리 사회를 조금만 둘려 보다면 그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자기만 떳떳하면 감시당하는 것이 뭐 어떠나고 말들을 우리는 종종 듣게 된다. 하지만 그게 얼마나 위험한 생각인지 이 책을 통해 똑똑히 알 수 있다.
한국사회는 겉으로 자유민주주의 국가라고 표방하지만, 개인의 자유와 행복, 프라이버시가 얼마나 소중한지 아직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 보인다. 개인이 없는 사회는 아무런 가치가 없다. 왜냐하면 개인보다 더 큰 가치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1984>에 대해 아쉬움 점이 있다면, 소설치고는 이야기 상의 재미가 별로 없다. 사건의 긴장감이 잘 없고, 인물 묘사나 갈등 표현이 좀 부족해 보인다. 너무 무거운 주제로 인해 재미있는 요소를 넣을만한 공간이 없는 것이었을까? 아니면 건조하고 삭막한 세상을 표현하기 위해 이것도 어쩌면 작가의 의도였을까라는 의문까지 들게한다. 이것이 내가 별 4개를 준 이유이다.

내 몸에 온기가 느꺼지고, 내 심장이 띠고 있음을 느낀다고 내가 진정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자신의 행동과 생각이 철저하게 알 수 없는 누군가에 의해 감시당하고 있는 세상에서는, 자신의 존재를 느끼는 순간부터 공포는 시작되어질 것이다. 그 공포가 어떠한지 상상이 가지 않는다면 조지 오웰의 <1984>를 읽어 보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