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 클라시커 50 5
베른트 슈 지음, 이온화 옮김 / 해냄 / 2004년 5월
평점 :
품절


현재 우리의 과학기술이 기나긴 역사와 노고를 통해 존재한다는 것을 잃고 지내는 경우가 많다. 지금의 50, 60대 분들에게 과거의 TV는 괜 장한 물건이었지만, 지금 10대 20대 사람들에게는 TV는 당연히 태어날 때부터 방안에서 자연스럽게 켜져 있는 기계일 뿐인 것처럼 말이다. 나는 이처럼 대단하고 이제는 우리 곁에 없어서는 안 되는 각종 발명품들에 대해 좀더 관심을 가지며, 내가 그만큼 큰 혜택을 받고 있음을 다시 한번 깨달고 싶어 이 책을 들었다.

우선 이 <발명 - 클라시커 50>은 풀 컬러에 삽화가 많다는 것도 특징이지만, 인류의 불이용부터 지금의 유전 공학까지 말 그대로 시간 흐름에 맞추어 인류 발명품들을 설명하고 있다는 것도 흔히 보기 힘든 책 구성이다. 나는 과학자들의 발명에 관하여 교과서에서 볼 수 없는 그 당시 흥미로운 에피소드들을 알기 원했는데, 물론 이 책을 그런 에피소드들을 담고는 있지만, 역사라는 주제에 맞추다 보니 좀 딱딱한 주제까지 어쩔 수 없이 포함되어 있어서 작가가 억지로 욕심을 부리지 않았나 싶다. 최근 100년 200년 안의 인류에 큰 변화를 준 발명품들에 대해 좀더 많은 분량을 할애하였으면 하는 아쉬움이 계속 들었다.

역시 중간 부분에 나오는 전화기, 사진기, 음향기기, TV 이야기가 아주 재미있다. 우리는 이 물건들을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고 있지만, 저것들이 발명될 당시에는 사회에 엄청난 사건들이었다. 우리가 지금의 유전공학을 향해 말하듯이 신에 대한 도전이라든가 일상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등의 말이 그 당시에도 저 발명품들에게 던져졌었다. 그렇게 킥킥거리며 읽고 있다보면 지금부터 100년 200년 뒤의 우리 후손들은 또 20세기 21세기 시대의 발명을 어떻게 적어 내려갈까 궁금하기도 하였다. 그 미래의 사람들은 또 과거의 우리보고 어떻게 저렇게 불편하게 살았을까 하고 웃으면서 말하지 않을까!

이 책의 가장 많이 나오는 등장인물은 단연 에디슨이다. 최근 에디슨에 대한 평과가 다양하게 다시 제기되기도 하지만, 그가 분명 발명의 대가이고 엄청난 열정의 소유자인 것은 분명하겠다.

우리는 분명 과거의 발명가들에게 큰 빚을 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들이 없이는 지금과 같은 문명은 있을 수 없으며, 다른 동물들처럼 동굴이나 나무에 앉아 과일이나 따 먹고 있을 것이 분명하다. 끝도 보이지 않는 금전적 부만 ㅤㅉㅗㅈ으며 하루하루 여유 없이 살기보다, 지금 우리 주위의 있는 편리한 발명품들을 다시 한번 바라보며 인류의 위대함과 물질적 혜택을 가슴 깊이 한번 느껴보는 것이 어떨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