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피용 (반양장)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파피용/ 베르나르 베르베르>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창작의 두마리 토끼인 작품성과 대중성을 고루 갖춘 몇 안되는 작가이다. 이 작품 또한 그 경계선을 아슬아슬 건너고 있다. 사실 그런 그가 난 좋다.
한없이 타락해가는 지구, 매번 최악을 경신하는 인류. 그리고 마지막 해결책, 탈출.
이 책은 SF소설이라 할 수 있다. 환상소설이고 공상소설이다. 그런데 지극히 현실적이고 성찰적이다.
`사회적인 동물들의 자연스러운 친화 경향을 보여주는 두가지 대표적인 예죠. 개미들의 연대와 쥐들의 이기주의. 인간들은 딱 중간이예요. 협력의 법칙이냐, 약육강식의 법칙이냐. 개미들의 법칙이냐 쥐들의 법칙이냐.`
난 이 부분을 읽었을 때 그 생각이 들었다. 이상적 막스주의의 연대사회와 자유경제 논리의 시장사회.
사회학자들은 민주주의, 시장 시스템이 가장 완벽한 인간사회 구조라고 한다. 왜냐하면 그만큼 오랜 시간 인류를 지배한 틀이기 때문에.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가 가장 이상적인 사회라는 말인가? 그렇다면 우리는 왜 탈출을 모색하는가?
우리는 당연히 생각한다. 개미의 바른 연대의 모습을. 하지만 우리는 당연히 살아간다. 쥐의 약육강식으로.
그런게 인간인 건지, 시스템이 인간을 그렇게 내모는 건지.
`이브는 나무 밑에 떨어져 있는 사과를 하나 주워서 깨물어 먹다가 벌레가 너무 많은 것을 보고 다시 뱉고 말았다. 인간의 입장에서는 약간 불쾌하기도 한 자연의 본성을 그동안 잊고 있었던 것이다. 자연이 주는 과일은 인간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그동안 방사선을 쬐고 살충제와 제초제로 뒤범벅이 된 과일만 먹다보니 벌레가 없고, 썩지 않는다고 믿게 되어 버렸던 것이다.'
그렇다. 사실은 자연은 우리 인간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우리도 자연의 일부이고 자연은 그런 자연 자신을 위한 것이다. 하지만 그런 자연은 이제 없다. 자연은 우리 아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실 그것이 잘못된 것은 아니다. 단지 우리가 그 자연 위에 있다하더라도 제대로 못다스리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따지고 보면 인류가 순수하게 창조한 것은 단 하나도 없다. 모든 것은 자연으로 부터 가져오는 것이다. 그런 자연을 뭉개는건 자신의 어머니의 피를 빨아먹는 것과 같다.
그래도 어머니는 여전히 그런 자식을 기대한다. 사랑한다. 우리는 언제 철이 들까?
`우리는 최악의 시대에 태어났어. 지금처럼 질병과 폭력이 난무하고 환경오염이 심각했던 적은 없었지.
- 다른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도 다 그렇게 생각했을걸? 페스트, 콜레라, 세계 대전, 노예 제도가 있었던 과거에 살았던 사람들은 최악의 시대라는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모든 세대마다 예전보다는 나아졌고 다음 세대에는 더 나아질 것이라고 믿어.
어쩌면 결국 상황은 언제나 똑같을지도 몰라. 단지 우리 시대는 더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끔찍하게 생각되는 거지. 그러니까 냉정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어.`
그렇다. 우리는 인류역사의 한 순간에 불구하다. 그래서 지금이라는 좁은 시선에서 벗어나질 못한다. 우리가 현재 가장 심각하게 여기는 암이라는 병. 예전에는 암은 희귀병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그 암이 인류를 가장 많이 죽이는 병이되어있다. 왜 그럴까? 우리는 스스로 죽을병을 만들어간다. 그리고 백신을 발견할쯤 그 병을 대신한 또다른 죽을병을 만들어 놓는다. 그렇게 끝없는 전쟁이 이어가는 것이다. 인류의 끝없는 살육의 전쟁처럼.
*
베르나르는 책을 재미있게 쓴다. 그리고 그 속에는 진지한 이야기를 묻어둔다. 그래서 재밌게 보이는 동시에 생각을 던진다. 그리고 그것은 충분히 와닿을 것들이다. 그래서 난 베르나르를 좋아한다.
이번 작품에 대해 비평가들은 많은 비평을 내놓았다.
종교를 비판하는 신성모독적인 작품이다.
공산주의를 떠올리게 하는 좌파소설이다.
인류사회의 문제점을 고발하는 폭로소설이다.
그런 비평에 베르나르는 이렇게 말을했다.
저는 무엇보다 독자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소설을 씁니다.
사실 그 때문에 내가 좋아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솔직히 이번 작품에 실망한 부분들도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헐리우드 블록버스터 같은 극적 상황의 나열이다.
'굳이 그렇게까지 해야했나?'라는 생각이 문득문득들었다.
어쨌든 그런 소소한 실망감을 주긴 했지만 베르나르의 이번 신작은 그의 명성에 충분히 걸맞는 좋은 작품이고 최근에 주목받는 여타의 작품 속에서도 빛날 작품이다.
그는 자연을 안다. 곤충을 사랑한다.
자연은 빈곤한 고갈상태를 얘기하지 않는다. 곤충은 쉽사리 사라지지 않는다.
그의 상상력은 여전하다.